-
Tech Blog
디지털 비즈니스의 성공은 사용자 경험(UX)에 의해 크게 좌우됩니다. 특히, 웹 어플리케이션 성능은 서비스의 첫 인상을 좌우하고, 이로 인해 서비스 전환율과 서비스 이탈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디지털 서비스가 복잡해짐에 따라, 프론트엔드 품질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실제 경험을 추적하고 개선하는 것이 필수적인 전략이 되었습니다. 이번 테크 블로그에서는 데이터독을 이용하여 프론트엔드 품질 분석을 통해 비즈니스 성과를 극대화하는 방법을 다루며, Sankey Diagrams, User Retention, Funnel Analysis, Heatmap처럼 다양한 분석 도구를 활용한 실질적인 개선 방법을 소개합니다. 프론트엔드 품질 분석의 중요성 웹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은 사용자 경험을 결정짓는 주요 요소입니다. 사용자가 접속한 웹페이지가 느리게 로딩되거나, 기능적 오류가 발생한다면 이는 곧 사용자 이탈로 이어집니다. 사용자의 기대 수준에 맞는 성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프론트엔드 성능을 정밀하게 모니터링하고 분석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프론트엔드 품질 분석의 핵심은 사용자가 실제로 어떤 경로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지 파악하고,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능 문제를 식별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 경험을 개선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서비스의 전환율을 높이고 서비스 이탈률을 줄이는 것이 가능해집니다. Sankey Diagram을 통한 사용자 흐름 분석 Sankey 다이어그램은 사용자 경로(User Journey)를 시각적으로 분석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Sankey 다이어그램은 사용자가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어떤 경로로 이동하는지를 흐름 형태로 보여줍니다. 이를 통해, 어떤 페이지에서 사용자가 이탈하는지, 전환에 성공한 사용자의 경로는 어떤지 등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첫 번째 랜딩 페이지에서 이탈하는 비율이 높다면, 해당 페이지의 성능이나 콘텐츠를 개선할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또한, 구매 절차 중간 단계에서 이탈률이 높다면 해당 절차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함으로써 전환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분석은 사용자의 행동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하고, 문제 지점을 구체적으로 개선하는데 필요할 수 있습니다. User Retention을 통한 사용자 유지 분석 사용자 유지율은 비즈니스 성공의 중요한 지표입니다. 신규 사용자 획득보다 기존 사용자를 유지하는 것이 비용 효율적이라는 점은 잘 알려져 있습니다. 데이터독의 사용자 유지 분석 도구는 사용자가 처음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한 후 다시 돌아오는지 여부를 추적하여 유지율(retention rate)을 분석합니다. 사용자 유지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초기 사용자 경험에서부터 지속적인 성능 개선이 필요합니다. 사용자가 첫 방문에서 긍정적인 경험을 할수록, 그들은 다시 웹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을 찾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과정에서 중요한 것은 사용자 행동 데이터를 통해 어떤 요소가 이탈을 유발하고 어떤 요소가 유지율을 높이는지를 파악하는 것입니다. Sankey Diagram과 결합된 사용자 유지 분석은, 사용자가 어떤 경로를 통해 돌아오며, 어떤 부분에서 이탈하는지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성능 문제를 해결하거나 콘텐츠를 개선하여 사용자 만족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Funnel Analysis를 통한 서비스 전환율 최적화 Funnel Analysis는 사용자가 특정 목표(ex: 제품 구매, 회원 가입 등)에 도달하기까지의 경로에서 각 단계별 전환율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사용자는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여러 단계를 거치며, 각 단계에서 서비스 이탈률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퍼널 분석을 통해 각 단계에서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지 파악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전환율 최적화를 위해 이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전자상거래 사이트에서 사용자가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은 후 결제를 완료하는 과정에서 어느 단계에서 이탈이 발생하는지 분석할 수 있습니다. 만약 결제 단계에서 서비스 이탈률이 높다면, 결제 프로세스를 단순화하거나 로딩 속도를 개선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할 것입니다. 데이터독의 Funnel Analysis는 단계별 전환율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며, 이를 통해 성공적인 전환을 위해 필요한 구체적인 개선 방향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Heatmap을 활용한 사용자 행동 분석 Heatmap은 사용자가 웹 페이지에서 어느 부분을 가장 많이 클릭하거나 주목하는지를 시각적으로 보여줍니다. 특정페이지 내에서 사용자 활동이 집중되는 영역과 그렇지 않은 영역을 파악하는 데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많이 클릭하는 요소가 실제로 비즈니스 목표와 관련된 것인지, 아니면 주의가 불필요한 곳에 쏠리는지 분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사용자가 기대하는 정보나 기능이 페이지의 아래쪽에 위치해 있어 시야에서 벗어나 있는 경우, 이를 상단에 배치하여 사용자 경험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Heatmap을 통해 얻은 데이터는 페이지 레이아웃 최적화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UI) 개선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가장 필요로 하는 정보나 기능을 잘 보이는 곳에 배치함으로써 전환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프론트엔드 품질 분석은 단순한 성능 모니터링을 넘어, 사용자의 행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인사이트 도출을 목표로 합니다. Sankey Diagrams, User Retention, Funnel Analysis, Heatmap의 도구를 활용하면 웹 애플리케이션의 각 단계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파악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의 수준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얻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웹사이트나 어플리케이션 성능을 지속적으로 개선할 수 있으며, 이는 곧 서비스 전환율 상승과 서비스 이탈률 감소로 이어집니다. 디지털 비즈니스 환경에서 사용자 품질 분석은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고, 장기적으로 비즈니스 성과를 극대화하는 중요한 전략입니다. 데이터독 솔루션을 활용한 프론트엔드 품질 분석에 대해 더 궁금하시다면, 메타넷티플랫폼과 상담하세요! <작성: 메타넷티플랫폼 HCSales4T>
2024.10.22
-
Tech Blog
Intune의 Copilot 알아보기Copilot이 출시되면서 많은 고객분들이 Copilot을 사용하기 위한 준비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Microsoft 365 Copilot을 사용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으나 관리자 측면에서 Copilot for Security를 통해 보안 관리를 조금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으며, 비용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Intune에서 사용할 수 있는 Copilot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Microsoft Copilot for Security는 생성-AI 보안 분석 도구입니다. Microsoft Copilot for Security을 사용하여 사용자와 조직에서 신속하게 정보를 얻고 보안 및 위험에 영향을 주는 결정을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Intune에는 Copilot에서 제공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이러한 기능은 Intune 데이터에 액세스하고, 정책 및 설정을 관리하고, 보안 상태를 이해하고, 디바이스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됩니다.Copilot을 사용하여 Intune 데이터에 액세스하는 두 가지의 방법이 있습니다.- Intune의 Microsoft Copilot : Copilot은 Intune에 포함되어 있으며 Microsoft Intune 관리센터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Copilot 프롬프트 및 출력은 Intune 및 Intune과 관련된 데이터의 컨텍스트에 있습니다.- Microsoft Copilot for Security : 이 옵션은 독립 실행형 Copilot이며, Security Copilot 보안센터(securitycopilot.microsoft.com)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포털을 사용하여 Intune, Microsoft Defender, Microsoft Entra ID, Microsoft Purview등 사용 가능한 모든 서비스에 대해 Copilot for Security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확인하고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 두 가지 방법 중 Intune의 Microsoft Copilot(공개 미리보기)에서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Intune에서 Copilot을 사용하려면 아래 내용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Copilot SCU(보안 컴퓨팅 단위) : Intune의 Copilot은 보안용 Copilot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Intune에서 Copilot을 사용하기 위한 다른 라이선스 요구사항 또는 추가 Intune 라이선스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Copilot 구성 : Intune에서 Copilot 기능을 사용하려면 먼저 Copilot for Security를 구성해야 하며 Security Copilot 보안센터에서 첫 번째 실행 둘러보기를 완료해야 합니다. 이후 Copilot for Security에 온보딩 후 Intune에서 Copilot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Intune 관리센터 – 테넌트 관리 - Copilot에서 Intune Copilot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Copilot 역할 : Intune에서 Copilot에 대한 액세스는 Copilot for Security 또는 Microsoft Entra ID를 통해 관리됩니다. Intune에서 Copilot을 사용하려면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Copilot for Security 또는 Microsoft Entra ID에 적절한 역할을 할당받아야 합니다.- Intune 플러그인 : Intune에서 Copliot을 사용하려면 보안용 Copilot에서 Intune 플러그 인을 사용하도록 설정해야 합니다. 이 플러그인을 사용하면 Intune 데이터에 액세스하고 Intune 관리 센터에서 Copilot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플러그인을 사용하려면 Security Copilot 보안센터에서 프롬프트 표시줄 – 네모 아이콘을 클릭합니다.이후 원본 관리에서 Microsoft Intune 사용을 활성화 합니다.- Intune 데이터 : Copilot은 Intune 데이터를 사용합니다. Intune 관리자가 프롬프트를 제출하면 copilot은 권한이 있는 데이터에만 액세스 할 수 있습니다.Intune에서 Copilot 사용 시작Intune에서 Coplot에 액세스하려면 Intune 관리센터에 로그인합니다. 홈 화면에는 Copilot을 사용하는 여러 방법이 표시되어 있습니다.현재 Intune에서 Copilot을 사용하여 아래의 세 가지 영역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정책 및 설정 관리- 디바이스 세부 정보 및 문제 해결- 디바이스 쿼리[정책 및 설정 관리]Copilot을 사용하여 개별 설정 및 권장 값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Intune 정책을 만들 때 설정을 추가하고 조직의 요구 사항에 맞게 설정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설정을 추가할 때 Copilot의 도구 설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Copilot 도구 설명을 선택하면 Copilot 프롬프트 창이 열리고 해당 설정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합니다.추가로 Copilot 창에는 사용할 수 있는 더 많은 프롬프트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프롬프트 가이드를 선택하면 기존 옵션 목록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Copilot 프롬프트는 설정의 영향을 이해하고, 잠재적 충돌을 찾고, 권장 값을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Copilot을 사용하여 기존 정책 요약Copilot을 사용하여 기존 Intune 정책을 요약할 수 있습니다. 요약에서는 정책이 수행하는 작업, 정책에 할당된 사용자, 그룹, 정책의 설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은 정책 및 해당 설정이 사용자 및 디바이스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Copilot을 사용하여 디바이스 세부 정보 가져오기 및 디바이스 문제 해결Copilot을 사용하여 설치된 앱, 그룹 멤버 자격 등과 같은 디바이스 관련 정보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Intune에서 이 기능을 사용하려면 디바이스를 선택한 다음 “Copilot을 사용하여 탐색”을 선택합니다.Copilot 창이 열리면 프롬프트를 선택하고 필요한 경우 필수 또는 선택적 입력을 입력합니다. 몇 가지 후속 질문에 대한 프롬프트 가이드를 열 수 있습니다. Intune에서 사용할 수 있는 Copilot을 간단하게 알아봤습니다. 앞에서 말씀드린 것과 같이 Copilot을 다양한 고객이 많이 사용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추후에는 실제 고객 사례를 확인 후 어떻게 업무에서 사용하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4.10.17
-
Tech Blog
현대 비즈니스 환경에서 비용 절감은 모든 기업의 주요 과제 중 하나입니다. 특히 IT 인프라의 효율적인 운영은 비용 절감의 핵심 요소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Azure Virtual Desktop(AVD)와 Windows 365는 이러한 도전에 대한 실질적인 해결책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한 금융 기관은 Azure Virtual Desktop을 사용하여 업무 시간에 맞춰 가상 데스크톱을 스케일링함으로써, 약 30%의 비용 절감을 달성했습니다. 또한, 글로벌 컨설팅 회사는 Windows 365를 통해 다양한 사용자 업무 환경과 프로젝트 요구에 맞추어 클라우드 PC의 성능과 지역(리전)을 조정함으로써, IT 자원 관리의 유연성을 극대화하였습니다.Azure ReservationAzure Reservation은 특정 서비스에 대해 장기간(1년 또는 3년)의 사용을 약정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사용자는 예약된 용량을 미리 확보함으로써, 종량제 요금제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특히 예측 가능한 워크로드를 가진 기업들에게 유리합니다. Azure Reservation은 가상 머신, SQL Database, Blob Storage 등을 포함한 다양한 서비스에 적용됩니다.VDI 환경에 주로 사용하는 가상 머신에 적용하며 업무시간에만 사용하는 것이 아닌 업무 외 시간까지 상시 가상 머신을 운영하는 환경일 경우 유리할 수 있습니다.Azure Virtual Desktop의 스케일링 플랜Azure Virtual Desktop(AVD)은 조직의 요구에 따라 가상 데스크톱의 수를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는 스케일링 플랜을 제공합니다. 이 기능은 사용량에 따라 자동으로 세션 호스트에 접속할 수 있는 자원을 할당하거나 해제함으로써 비용 효율성을 극대화합니다. 예를 들어, 업무 시간 동안에는 더 많은 가상 데스크톱을 활성화하고, 비업무 시간에는 이를 축소시켜 불필요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또한, AVD는 멀티 세션 Windows 10 및 Windows 11을 지원하여 여러 사용자가 단일 VM에서 작업할 수 있어 자원 활용도를 높입니다.또한 스케일링 플랜 기능 중 유휴 사용자 로그오프 기능을 사용하여 업무 사용이 끝났지만 아직도 연결된 상태로 자원을 점유하여 낭비되는 비용을 관리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자원 관리를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Windows 365의 클라우드 PC 크기 조정 기능Windows 365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클라우드 PC의 성능을 쉽게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조직은 필요에 따라 CPU, 메모리, 저장 용량 등을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은 특히 단기 프로젝트나 특정 사용자 그룹에 대해 고성능이 필요한 경우 매우 유용합니다. 최근에는 클라우드 PC에서도 GPU를 사용할 수 있는 모델이 제공되고 있으며 보다 전문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사용자를 위한 가상 환경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Windows 365는 또한 관리자로 하여금 사용자의 업무 필요성에 따라 클라우드 PC를 빠르게 생성, 수정, 삭제할 수 있는 간편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관리의 편의성을 높입니다. 결론Azure Virtual Desktop과 Windows 365는 모두 비용 절감을 위한 강력한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Azure 기반의 IaaS VM을 사용한 가상화 인프라 역시 Azure Reservation을 통해 장기적인 비용 절감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만, AVD를 사용한다면 보다 편리한 관리 환경을 포함하여 스케일링 플랜을 통해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Windows 365를 사용한다면 클라우드 PC 크기 조정 기능을 통해 필요한 자원을 적시에 배치함으로써 효율적인 IT 인프라 운영을 가능하게 합니다. 각 솔루션의 특성과 기능을 잘 이해하고 활용함으로써, 조직은 최적의 비용 절감 효과를 누릴 수 있을 것입니다.
2024.10.11
-
Tech Blog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데이터가 분산되어 저장되고 다양한 서비스가 연동되면서 데이터 유출, 미인가 접근, 데이터 손상, 서비스 거부 공격 등 기존 온프레미스 환경에서는 상상하기 어려웠던 새로운 형태의 보안 위협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기존 WAF, 방화벽/IPS에 대한 전통 보안 관제 영역은 네트워크 경계에서의 위협을 방어하는 데 효과적이지만, 클라우드 환경의 동적이고 복잡한 특성을 고려할 때 더욱 포괄적인 보안 관리 체계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AWS 차세대 보안관제 서비스(ECIRA: Enhanced Cloud Incident Response and Automation) 모델은 단순한 보안 관제 영역을 넘어, 클라우드 보안 환경에서의 자산 식별 및 관리, 보안 이벤트 통합 및 자동화 대응, 보안 감사 활동, 보안 대시보드 구축을 통해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보안 사고에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위협을 신속하게 식별하고 대응할 수 있으며, 사고에 대한 높은 가시성을 제공합니다. AWS 차세대 보안관제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전략으로 구성됩니다. Discovery: 워크로드 리소스 식별 및 설정, 구성 취약점 식별AWS 내 리소스 현황 파악으로 가시성을 확보하고, 여러 계정과 다양한 리전에 있는 AWS 리소스의 인벤토리를 유지 및 관리합니다. 또한, 취약점 식별을 통해 다수 AWS 계정, 리전의 Prowler 보안 조사 결과에 대한 통합 보고서를 제공하여 조직의 보안 현황에 대한 잠재적 개선사항을 식별합니다. Detection: 지속적인 감사 구성 및 위협 탐지, 어카운트 통합지속적인 보안 감사 활동을 통해 위협을 탐지하고, 여러 계정의 보안 이벤트를 통합하여 관리합니다. Analysis: 위협 분석 기반 마련, 가시화위협 분석 기반을 마련하여 보안 이벤트를 가시화하고, 이를 통해 신속한 대응이 가능합니다. Response: 알림 및 자동화 대응 조치Lambda를 통해 보안 이벤트에 대한 사고 대응 및 자동화를 구성하여 각종 위협에 신속히 대응합니다. 이러한 전략을 통해 AWS 차세대 보안관제 서비스는 기존 보안 관제 영역의 한계를 극복하고, 더욱 정교하고 지능적인 클라우드 환경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합니다. 클라우드 보안관제의 필요성이 점점 더 강조되는 현재, AWS 차세대 보안관제는 강력한 보안 기술력을 바탕으로 단순히 보안 사고를 예방하는 것을 넘어, 기업의 비즈니스 가치를 극대화하고, 미래 성장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AWS 차세대 보안관제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고 싶으시다면, 메타넷티플랫폼과 상담하세요! <작성: 메타넷티플랫폼 Security Sales Group>
2024.10.08
-
Tech Blog
지난 번 포스팅에서는 프론트엔드 모니터링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경험을 최적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다양한 모니터링 도구와 그 중요성, 그리고 사전적 및 사후적 모니터링의 유형과 작동 방식을 살펴보았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좀 더 구체적으로 프론트엔드 모니터링이 필요한 대상과 그 과제, 그리고 솔루션 선택 시 고려해야 할 기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디지털 비즈니스 성과를 높이는 프론트엔드 모니터링 1. 프론트엔드 모니터링이 필요한 대상은? 개발 사이클의 모든 단계에서 프론트엔드 및 모바일 개발자는 프론트엔드 모니터링을 도입함으로써 혜택을 볼 수 있습니다. 특정 개발 팀을 위한 몇 가지 사용 사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오류 해결: RUM과 세션 재생을 사용하여 개발자는 전체 컨텍스트를 바탕으로 프론트엔드 오류를 해결하고 버전별로 추적할 수 있습니다.2) 성능/가용성 모니터링: 신테틱, RUM, 세션 재생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테스트를 사용하여 개발자는 웹 페이지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테스트하고 모니터링하며, 사용자 세션, 조회수 및 작업을 포함하여 Core Web Vitals의 성능 저하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3) 행동 모니터링: RUM과 Session replay를 사용하여 개발자는 실제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상호작용을 캡처하여 사용자 경험을 더 잘 이해하고 이를 향상시킬 기회를 식별할 수 있습니다. 프론트엔드 모니터링의 과제는 무엇인가요? 프론트엔드 모니터링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지속적인 업데이트, 기술 프레임워크의 변화, 다양한 브라우저, 기기 및 위치에서 접속하는 사용자들로 인해 프론트엔드를 완전히 모니터링하고 최적화하려면 다양한 도구가 필요하며, 이는 도구 스프롤링(tool sprawling)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그러나 모든 도구가 통합된 플랫폼의 일부이며 서로 원활하게 통합된다면 이는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또 다른 도전 과제는 RUM과 같은 솔루션이 사용자 오류와 좌절의 전반적인 상황을 보여줄 수 있지만 그 근본 원인을 설명하지 못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를 해결하려면 RUM을 애플리케이션 성능 모니터링(APM)과 연결하여 전체 스택 가시성을 확보하고 오류를 직접 원인과 연결하는 것이 좋습니다. RUM Error Tracking 프론트엔드 모니터링 솔루션 선택 시, 필요한 기능은? 프론트엔드 모니터링 솔루션을 선택할 때 팀은 다양한 사전적 및 사후적 도구를 제공하는 통합 플랫폼을 제공하는 제공업체를 고려해야 합니다. 이렇게 하면 여러 제공업체 간의 불필요한 컨텍스트 전환을 방지하고 여러 도구를 온보딩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습니다. 주요 기능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1. 신테틱 모니터링: (Synthetic Monitoring)- 테스트 생성용 코드리스 레코더- API, 다중 단계 API 및 셀프 힐링 브라우저 테스트- 다양한 네트워크 프로토콜- 여러 관리 위치와 프라이빗 위치 설정 기능- 즉시 사용 가능한 대시보드 2. Real user monitoring: (RUM)- 성능 메트릭(예: Core Web Vitals, 로딩 시간, 오류, 리소스)- 오류 추적 기능- Feature flag- 알람 설정 3. Sesssion Replay: (세션 재생 기능)- 픽셀 단위 정확한 재생- 백엔드 트레이스와의 연관분석 프론트엔드 모니터링에 대해 더 알아보기 Datadog은 프론트엔드 모니터링 도구를 위한 통합 플랫폼을 제공합니다. Datadog RUM, Session Replay, 신테틱 모니터링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테스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십시오. Datadog의 프론트엔드 모니터링 제품 및 기능에 대한 추가 정보는 Datadog의 디지털 경험 모니터링 스위트에 대해 알아보십시오. 지금까지 프론트엔드 모니터링의 필요성과 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혜택, 주요 과제, 그리고 솔루션 선택 시 고려해야 할 기능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프론트엔드 및 모바일 개발자들은 다양한 도구와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고 성능 문제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습니다. 효과적인 프론트엔드 모니터링은 최종 사용자에게 빠르고 안정적인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데 기여하며, 이는 기업의 성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프론트엔드 모니터링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고 싶으시다면, 메타넷티플랫폼과 상담하세요! <작성: 메타넷티플랫폼 HCSales4T>
2024.09.20
-
Tech Blog
디지털 환경이 발전하면서 웹 애플리케이션의 성능과 사용자 경험은 비즈니스 성공에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았습니다. 특히 프론트엔드는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과 상호작용하는 첫 접점이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 발생하는 오류나 성능 저하가 사용자 이탈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프론트엔드의 성능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문제를 빠르게 해결하는 것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오늘은 이러한 중요성을 가진 프론트엔드 모니터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프론트엔드(Frontend) 모니터링이란?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할 때 엔지니어는 사용자가 다양한 시나리오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어떻게 경험할지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단일 페이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축된 웹사이트는 특정 브라우저나 기기에서 다르게 반응할 수 있으며, 팀은 이러한 모든 시나리오를 점검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동시에 팀은 애플리케이션의 각 부분이 예상대로 작동하는지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애플리케이션이 프로덕션에 들어가면 오류와 성능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팀은 디지털 경험이 깨지지 않도록 빠르게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애플리케이션을 사전에 테스트하고 사용자 경험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과정을 프론트엔드 모니터링이라고 합니다.프론트엔드 모니터링 또는 분석가들이 말하는 디지털 경험 모니터링(DEM)은 최상의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되므로 모든 모니터링 전략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프론트엔드 모니터링은 브라우저 및 모바일 RUM(Real User Monitoring), Session Replay, 신테틱 모니터링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테스트를 포함한 사전적 및 사후적 모니터링 도구들로 구성됩니다.디지털 비즈니스가 그 어느 때보다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오늘날, 빠르고 사용 가능하며 기능적인 애플리케이션을 최종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은 회사의 수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프론트엔드 모니터링은 도전적일 수 있지만 사용자 오류를 줄이고 애플리케이션 성능을 사전적으로 개선하는 것은 큰 보상을 가져다줍니다. Twilio의 2023년 고객 참여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디지털 고객 참여에 대한 투자가 평균적으로 90%의 수익 증가를 가져왔으며, 이는 지난해 70%에서 상승한 수치입니다.프론트엔드 모니터링의 주요 유형은 무엇인가요?프론트엔드 모니터링은 사전적 모니터링과 사후적 모니터링 두 가지로 나뉩니다.사전적 모니터링에는 신테틱 모니터링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테스트가 포함되며, 이는 사용자의 브라우저, 모바일 및 API 상호작용을 시뮬레이션하여 관심 있는 워크플로가 예상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다양한 브라우저나 기기 유형에서 경험을 시뮬레이션함으로써 개발자는 최종 사용자가 경험하기 전에 문제를 발견하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사후적 모니터링에는 브라우저 및 모바일 RUM과 Session Replay가 포함되며, 실제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과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캡처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이 모니터링 유형은 사용자 경험을 이해하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기회를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되는 성능 및 사용자 행동 데이터를 제공합니다.사전적 및 사후적 모니터링을 함께 사용하면 조직은 애플리케이션의 예상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제 환경에서 사용자가 경험하는 예상치 못한 좌절감을 찾아낼 수 있습니다. 완벽한 프론트엔드 모니터링 솔루션을 구성하려면 사전적 및 사후적 모니터링 도구가 모두 필요합니다. RUM Session Replay 프론트엔드 모니터링은 어떻게 작동하나요?프론트엔드 모니터링 도구 키트 내의 각 방법은 고유한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신테틱 테스트를 통한 사전적 모니터링은 다양한 브라우저, 기기 및 전 세계 위치에서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에 시뮬레이션된 요청을 보내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신테틱 테스트의 작동 방식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Datadog 지식 센터의 신테틱모니터링 관련 기사를 참조하세요.반면에 사후적 모니터링은 사용자가 기존 애플리케이션과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캡처하고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RUM은 애플리케이션 내 사용자 상호작용을 캡처하고 이러한 세션을 Core Web Vitals, 오류, 리소스 및 웹 또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긴 작업과 같은 성능 데이터와 연관시켜 분석합니다.세션 재생은 사용자의 브라우징 경험을 시각적으로 재생하여 사용자 오류를 쉽게 찾아내고 재현할 수 있게 함으로써 프론트엔드 모니터링을 한 단계 더 발전시킵니다. 추가 구성으로 RUM 데이터를 백엔드 메트릭 및 트레이스와 연관시켜 문제의 근본 원인을 빠르게 찾아 문제 해결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사용자 활동을 기반으로 성능 데이터를 추적하면 개발자는 애플리케이션의 실제 시나리오에서의 건강 상태를 완전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는 신테틱 테스트로 다루는 사전 설정된 시나리오에 국한되지 않습니다. 지금까지 프론트엔드 모니터링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프론트엔드 모니터링이 필요한 대상이 무엇인지, 솔루션을 선택할 때는 어떤 것이 필요한지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프론트엔드 모니터링 솔루션 도입에 관심있으시다면, 메타넷티플랫폼과 상담하세요! <작성: 메타넷티플랫폼 HCSales4T>
2024.09.19
-
Tech Blog
마이크로소프트는 자사의 Azure(애저) 클라우드에서 오픈AI의 인공지능 모델*을 독점 공급하고 있습니다. 기업이나 개발자는 MS Azure 플랫폼의 'Azure 오픈AI'를 이용해 자신의 애플리케이션에 AI 기능을 통합할 수 있습니다. * GPT3.5/GPT4, GPT3.5/GPT4 TURBO, GPT4o, DALL-E 3, Whisper 등 오늘 포스팅에서는 메타넷티플랫폼이 고객사에 직접 Azure 오픈AI를 구축한 사례를 소개하고, Azure 오픈AI로 기업이 얻을 수 있는 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Azure 오픈AI란? 'Azure 오픈AI'는 마이크로소프트가 제공하는 Azure AI 서비스 중 하나로, OpenAI의 강력한 인공지능 모델들을 Azure 플랫폼을 통해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사용자는 Azure 오픈AI를 통해 오픈AI의 최신 언어 모델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자연어 처리, 번역, 텍스트 생성, 코드 작성 등 다양한 작업을 자동화하고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Azure의 클라우드 컴퓨팅 인프라와 통합되어 있어 확장성, 보안, 데이터 관리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AI 모델을 안정적이고 안전하게 운영할 수 있습니다. 구축사례 1. 글로벌 시장에서 활약하는 국내 대표 전자기업 [요구사항]1. 사설 망 네트워크를 사용한 Azure 오픈AI 외부단절2. 무 중단 서비스를 위한 지역별 밸런싱이 필요함.3. 관리는 지정된 사용자만 접근하여 시스템 설정4. 질의답변 기록은 남지 않아야 함. [구축]1. OA -> Azure DC ER 게이트웨이 -> API 관리 서비스 호출2. API Management Smart Balancing 지역 Azure Open AI 요청 (캐나다 동부 OpenAI / 프랑스 중앙 OpenAI / 서유럽 OpenAI)3. 관리자는 Bastion에 접속하여 API 관리 정책을 변경함4. API 관리 로그 진단 수행5. 운영자는 Azure AD 관리를 통해 사용자 등록/수정/삭제/조회6. 운영자는 시스템 대시보드 화면을 통해 모니터링 수행7. 운영자는 Application Insight로 런타임 오류/트래픽의 세부정보를 확인 가능8. 운영자는 Network Watcher를 사용해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확인 [구축 후 이점]1. 데이터 관점: 공용망에서 오픈AI를 사용하게 되면 데이터 보안에 취약해지는 부분을 보안하기 위하여 프라이빗 망으로 외부의 접근을 원천 차단2. R&D 효율성: Azure 오픈AI를 사용하여 연구 개발의 문제해결 시간을 단축하고, 개발과정의 신기술의 신속한 대응.3. 비즈니스 프로세스: 반복적이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업무를 Azure 오픈AI로 자동화하여 빠르고 효율적인 프로세스 수행, 비용 감소 구축사례 2. 1만개 이상의 편의점 점포를 운영하는 대형 유통사 [요구사항]1. Azure 네이티브 서비스와 Azure 오픈AI를 혼합한 구성으로, 기존 Q&A 데이터셋이 탑재된 질의응답 봇 구현2. 오픈AI 엔드포인트를 통한 지리적 근접성 확보 및 전용 네트워크 연결을 통한 데이터 전송 지연 최소화3. 내부 데이터 유출 방지를 위한 데이터 암호화, 접근 제어, 실시간 모니터링의 보안 강화 [구축]1. 온프레미스 -> Azure VPN 게이트웨이 연결2. 웹 앱 범위와 AI 서비스 범위에 대한 VNet 통합 필요성3. 네이티브 서비스 리소스와 각 Azure 오픈AI는 프라이빗 엔드포인트를 사용하여 전용 네트워크 액세스를 허용함4. Azure 네이티브 서비스 VNet은 NSG를 통해 인바운드 및 아웃바운드 설정이 가능5. CosmosDB, Blob Storage, AI 서비스 내의 AI Document Intelligence에서 가져온 콘텐츠들은 Azure Cognitive Search에 업로드될 수 있음.6. Azure Cognitive Search의 검색 결과는 궁극적으로 다양한 Azure OpenAI에서 Q&A 등의 다양한 결과를 호출하는 데 사용됨. [구축 후 이점]1. 데이터관점①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을 중심으로 사용자의 자연어 쿼리를 분석하여 적절한 상품을 추천해주는 지능형 AI 챗봇 구현② Q&A 데이터셋을 근거로 한 자연스럽고 새로운 답변을 생성하여 유저에게 정확한 정보 제공2. 전용 네트워크 연결 구성의 효율성각 지역의 오픈AI 엔드포인트와 전용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전송 지연 최소화 및 내부 통신 효율성 극대화3. 비즈니스 프로세스:① 안정적이고 빠른 데이터 전송으로 운영 효율성이 향상되며, 강화된 데이터 보안으로 규정 준수 및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하여 고객 신뢰도 향상② 접근할 수 있는 문서, 정보 등의 차이를 고려하여 사용자별 권한에 따른 답변을 세분화해 보안 요건 충족 Azure 오픈AI의 개선점들 현 시점에서 Azure 오픈AI가 개선이 필요한 부분, 또 개선 중인 부분들이 있습니다. 1. 데이터의 정확성: 데이터의 정확성은 AI 서비스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AI가 학습하는 과정이 계속 진행 중이기에, 점점 정교하고 정확한 데이터가 제안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2. 응답 속도: 수요가 많은 반면, 공급이 부족한 상태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응답 속도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시스템 성능이 계속해서 발전 중이기에 향후 응답속도가 점차 향상될 것으로 기대됩니다.3. 지역별 가용성 제한: 지역마다 가용성 제한 및 배포된 모델이 달라, 특정 모델 사용을 위해서는 지역을 변경해야 하는 불편이 있을 수 있습니다. 현재 계속적으로 제한 지역에 신(新) 모델을 배포 중입니다.4. 가격정책: 종량제가 시행 중이고, 정액제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비용에 대한 예측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고용량의 작업 시 비용이 상당히 급증할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할 필요가 있습니다. 향후 정액제 과금 방식의 도입이 필요합니다.5. API 버전 관리: API 버전 업데이트 주기가 짧습니다. 다만 안정화 단계가 높아질수록 업데이트 주기도 점점 최적화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고객사들은 AI 기술을 도입하여 여러 분야에서 비용·인력에 대한 정량·정성적 만족을 얻고자 합니다. 이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고객 인터뷰시 현재 시스템의 문제점을 정확히 파악하고 분석·설계를 진행해야 합니다. 설계의 과정이 부족할 경우, 만족할만한 성능이나 부가적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메타넷티플랫폼은 고객의 요구사항에 맞춘 Azure 오픈AI 도입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Azure 오픈 AI 활용을 고민하고 계신다면, 메타넷티플랫폼과 상담하세요! <작성: 메타넷티플랫폼 Public Cloud Unit / DevOps 1 Team>
2024.08.08
-
Tech Blog
2023년 11월 브로드컴은 VM웨어를 인수하였고, 이후 브로드컴은 제품 간소화와 영구 라이선스 모델에서 구독 기반 프레임워크로의 전환을 발표했습니다. VM웨어는 온프레미스 데이터센터의 단순 가상화 플랫폼에서 프라이빗/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까지 기업 IT인프라의 핵심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VM웨어의 제품 전략 변화는 고객의 VM웨어 제품 구매와 활용 방식에 상당한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VM웨어의 발표 내용을 바탕으로 제품 라인업 및 라이선스 정책의 변경 사항을 살펴보고, 이러한 전략 변경이 고객의 인프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합니다. 또한, 향후 인프라 확장과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지식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vSphere Cloud Foundation 중심의 플랫폼 비즈니스 전략 브로드컴은 VM웨어의 인수와 함께 가상화 솔루션 판매 위주에서 퍼블릭 클라우드 수준의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구축하기 위한 플랫폼 비즈니스로 중심을 변경하고 있습니다. 브로드컴의 CEO인 Hock Tan은 브로드컴 B-Connected Blog에 기고한 ‘CEO Insights: A Changing market landscape requires constant evolution: our mission for VMware customers’에서 VM웨어의 전략 변경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브로드컴은 고객에게 일관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하여 변화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워크로드를 고객 자체의 데이터센터에서 퍼블릭 클라우드로 또는 퍼블릭 클라우드 사이에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 공급 업체(CSP)들과 협의하고 있습니다. 최종 사용자와 동일하게 라이선스를 코어(Core) 단위로 통합하고 vSphere Cloud Foundation(VCF)에 라이선스-호환성(License Portability)을 제공하고 VCF에 대한 클라우드 공급자의 기술 스택을 표준화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고객은 CSP 사이의 워크로드 이동 시에 라이선스 불일치로 인한 비용 추가를 피할 수 있으며, VM웨어가 지원하는 모든 클라우드 공급업체에서 동일한 기술 및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현재는 구글 클라우드로의 VCF의 라이선스 이동이 가능합니다. 기업용 소프트웨어 업계는 라이선스 구독 모델로의 전환을 추진해 왔으며, VM웨어도 2018년부터 구독 모델을 도입하였습니다. VMware Cloud Foundation(VCF)과 VMware vSphere Foundation(VVF)을 중심으로 한 이 구독 모델은 가격을 각각 50%와 43%정도 인하하였고, 소프트웨어 개발사의 Upsell-점진적인 기능을 동일 제품의 새로운 버전 또는 새로운 Add-on 제품으로 브랜딩-하는 관행을 종식시켜 추가비용 없이 새로운 기능을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소프트웨어 업체는 제품 수의 감소로 인해서 테스트 부담이 감소하며, 제품 혁신으로 운영 복잡성이 낮아지는 장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가 소프트웨어 산업의 트렌드에는 부합하지만 장기적인 비용 증가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것은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브로드컴은 고객을 Strategic, Corporate 및 Commercial의 3개의 세그먼트로 구분하고 고객의 세그먼트에 따라서 구매할 수 있는 제품에 제약을 두고 있습니다. vSphere Standard 및 vSphere Essentials Plus와 같이 소규모 가상화 환경을 위한 제품은 vSAN 등의 Add-On 제품의 구매가 불가능하도록 변경되었습니다. 결과적으로 이런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서 제품의 특성 및 제한 사항에 대해서 예전보다 더 깊은 이해가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VM웨어 라이선스 정책 변경 VM웨어의 라이선스 기준은 CPU의 소켓당 라이선스에서 소켓당 코어 라이선스로 변경되었습니다. 최소 코어는 16코어로 16코어 미만의 호스트는 16코어로 산정됩니다. 즉, 8코어의 노드와 16코어의 노드는 라이선스가 동일하게 산정되어, 적은 코어 노드를 16코어 이상의 서버로 교체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소규모 기업이나 개발 및 테스트 등의 환경에 적합한 VMware vSphere Essential Plus는 최대 32코어, 3노드(총 96코어)로 구성이 가능합니다. vSphere Essential Plus와 Standard는 Add-On 구매가 제한된 단독제품으로, vSAN · SRM(Site Recovery Manager) · VCDR(VMware Cloud DR) 등의 Add-on을 구매할 수 없습니다. 기존에 해당 기능을 사용하고 있는 고객은 VVF나 VCF로 업그레이드를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Add-On 중에서 vSAN은 기존 코어 단위에서 용량 단위로 라이선스 기준이 변경되었습니다. 기본 용량으로 VVF는 코어당 100GiB, VCF는 코어당 1TiB의 저장 공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더 많은 공간이 필요한 고객은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기에 스토리지 시스템의 아키텍처에 대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기존 정책신규 정책소켓 기반 라이선스소켓당 코어 기반 라이선스라이선스 산정 시 소켓 당 코어로 산정방식 변경소켓당 최소 코어는 16임(16코어 미만 소켓도 라이선스 구매 시 16코어로 산정)영구 라이선스 +SnS(Support and Subscription)구독형, 단일 Term 라이선스기존 영구 라이선스에 대한 Subscription 연장은 불가, Term 라이선스로 다시 구매해야 함Term 라이선스는 1,3,5년 단위로 구매 가능다양한 제품 패키지무료 vSphere 하이퍼바이저(ESXi) 제공 중단vSphere Essential Plus, Standard만 단독 구매 가능그 외에는 Suite + AddOn 형태로만 구매 가능라이선스 구매 제약 없음브로드컴 내부 고객 등급: Strategic, Corporate, Commercial 브로드컴 내부 고객 등급에 따라 하위 라이선스 구매가 제한됨Commercial 등급: 구매 제한 없음Corporate: VVF, VCF 구매 가능Strategic: VCF 만 구매 가능 (표 1) VM웨어 라이선스 전략 변화 VM웨어 제품 통합 브로드컴은 168개의 제품군(SKUs)를 4개의 제품군으로 간략화하였습니다. 서버 가상화는 데이터센터의 IT 인프라 최하부에 위치하며 AP · Database 서버 등 애플리케이션을 운영하기 위한 기본 인프라입니다. VMware vSphere Essential Plus와 vSphere Standard는 단품(Standalone)으로만 구매가 가능하며 소규모의 가상화 환경을 구축하는 기업에 적합합니다. VVF와 VCF는 대규모 가상화 및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구축하려고 하는 기업에 적합한 제품으로, 컨테이너 환경을 지원하는 TKG(Tanzu Kubernetes Grid)와 vSAN 및 NSX와 같은 엔터프라이즈 기능을 추가로 제공합니다. 제품명VMware vSphereEssential PlusVMware vSphereStandardVMware vSphereFoundation (VVF)VMware CloudFoundation (VCF)제품구성vSphere EssentialvCenter Essential PlusvSphere StandardvCenter StandardvSphere Enterprise PlusvCenter StandardTanzu Kubernetes Grid (TKG)vSAN Enterprise (100GiB/core)Aria Suite StandardvSphere Enterprise PlusvCenter StandardTanzu Kubernetes Grid (TKG)vSAN Enterprise(1TiB/core)Aria Suite StandardAria Operations for Networks EnterpriseNSX Networking for VCFHCX EnterpriseSDDC ManagerSelect Support & SRE특징서버가상화 제품다수 제품의 Bundle코어 단위 라이선스(최소 16 코어 구매 필요)서버당 32코어, 최대 3노드 구성 가능 vSAN 100 GiB/Core(100GiB 기본 제공)vSAN 라이선스가 기존 코어 단위에서 용량(GiB) 단위로 변경vSAN 1TiB/Core 적용vSAN 라이선스가 기존 코어 단위에서 용량(TiB) 단위로 변경 Senior SRE 배정/원인분석(RCA) 제공제한사항Add-on제품(vSAN, SRM, VCDR) 구매 불가스토리지(Physical Array, Software Defined Storage) 필요재해복구(DR) 자동화를 위한 SRM 라이선스 구매 필요가상 방화벽(Micro-segmentation)을 위한 VMware Firewall License 구매 필요32코어이상 노드, 4노드 이상 구성 시 적용 안됨 코어대비 스토리지 용량이 큰 경우, 용량추가를 위한 vSAN Add-on 라이선스 구매 필요(cf. 3노드 96 코어 구성 시 vSAN 9.6 TiB 기본 제공) (표 2) VM웨어 제품 특성 VVF 및 VCF 플랫폼 선택 기업이 IT 인프라를 최적화하고 현대화하기 위해 플랫폼을 도입할 때에는 비용뿐만 아니라 인프라 발전 전략, IT팀의 인력 구성, AS-IS 인프라 환경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VVF는 기업의 가상화 인프라 플랫폼 구축에 적합한 제품이며, 데이터센터 수준의 프라이빗 클라우드와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VCF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VVF는 애플리케이션 성능과 안정성을 위한 검증된 아키텍처가 필요할 때, 산업이나 비즈니스 요구사항에 맞춘 맞춤형 인프라를 구축할 때, 기업이 지켜야할 보안 표준과 규제를 준수하기 위한 아키텍처가 필요할 때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VCF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을 통합 관리할 때, 기존 데이터센터를 현대화하여 효율성을 높이고자 할 때, 인프라 배포와 운영을 자동화하여 관리 부담을 줄이고자 할 때, 비즈니스 성장에 따라 쉽게 확장할 수 있는 인프라가 필요할 때에 강점을 제공합니다. 표3은 목표 시스템에 따라서 선택할 수 있는 제품과 Add-On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목표 시스템VM웨어제품Add-On가상화 인프라VVFvSAN가상화 인프라 + 재해복구(DR)vSAN, SRM프라이빗 클라우드VCF 프라이빗 클라우드 + Multi AZ(Availability Zone)ALB(Advanced Load Balancer), NSX Firewall /w AT)하이브리드 클라우드VMC(VMware Cloud) on Public Cloud하이브리드 클라우드 + 재해복구(DR)VMC(VMware Cloud) on Public Cloud, SRM / VCDR프라이빗 AI 플랫폼RAY, Kubeflow(표 3) 목표시스템에 따른 VM웨어 제품 구성 VM웨어 제품 EOA(End Of Availability)VM웨어의 제품 구성 변경으로 인해 다수의 제품이 End of Availability(EOA) 상태가 되었습니다. 이러한 제품들은 더 이상 단독으로 구매할 수 없으며, VVF와 VCF 또는 Add-on으로만 구매할 수 있습니다. 기존 VM웨어 제품의 EOA 목록을 확인하고 지원 종료 제품을 식별하며, 대체 제품 및 업그레이드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기존 제품의 기능을 최신 버전으로 대체하고, 새로운 제품에 대한 교육 및 훈련을 통해 전환 과정에서의 문제를 최소화하고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술 지원 및 서비스 계약을 검토하고 필요에 따라 갱신하여 지속적인 지원을 받을 준비를 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기업은 IT 인프라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미래의 IT 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브로드컴의 VM웨어 인수 후 라이선스 정책 및 제품 전략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소켓 당 코어 단위의 새로운 구독 체계가 도입되어 다양한 Standalone 구매 옵션이 사라지고, VVF와 VCF가 중심이 되는 2개 제품으로 통합되었습니다. VM웨어는 단순 가상화에서 퍼블릭 클라우드 수준의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전략을 확대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고객들은 기존 VM웨어 인프라를 발전시키고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해서 새로운 정책을 명확히 이해하고 자신의 인프라 환경을 검토하여 조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신규 라이선스 정책과 기준에 따라 비용 효율적이고 최적화된 아키텍처로의 전환을 시작하시기를 권장합니다. VM웨어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고 싶으시다면, 메타넷티플랫폼과 상담하세요! <작성: 메타넷티플랫폼 테크1팀>
2024.07.10
-
Tech Blog
마이크로소프트 인튠(Intune)이란? 마이크로소프트 인튠은 클라우드 기반의 서비스로, 조직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와 앱을 관리하고 보호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인튠을 사용하면 조직의 데이터와 리소스에 접근하는 모든 디바이스를 통제하고, 보안 정책을 적용하고, 원격으로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잠글 수 있습니다. 또한 인튠은 사용자에게 편리하고 안전한 앱 사용 환경을 제공하고, 조직의 IT 팀과 사용자 간의 협업을 촉진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인튠은 다양한 플랫폼과 디바이스를 지원합니다. Windows, iOS, Android, macOS 등의 주요 운영체제와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PC 등의 다양한 디바이스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 클라우드 기반의 서비스로, 별도의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인튠은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운영되므로, 조직에서 별도의 서버나 하드웨어를 구매하거나 설치할 필요가 없습니다. 또한 인튠은 항상 최신 버전으로 자동 업데이트되므로, 최신 기능과 보안 패치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통합된 관리 콘솔을 제공합니다. 인튠은 마이크로소프트 Endpoint Manager라는 통합된 관리 콘솔을 통해, 디바이스, 앱, 사용자, 그룹, 정책, 보고서 등을 한 곳에서 관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인튠은 마이크로소프트 365, Azure Active Directory, Azure Information Protection, 마이크로소프트 Defender for Endpoint 등의 다른 마이크로소프트 서비스와도 통합되어, 보다 강력하고 효율적인 관리를 가능하게 합니다.✔ 사용자 중심의 관리를 지원합니다. 인튠은 사용자의 역할, 부서, 위치, 디바이스 유형 등에 따라 다양한 정책과 설정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인튠은 사용자가 자신의 디바이스를 등록하고, 앱을 설치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자가 서비스 포털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디바이스를 자유롭게 사용하면서도, 조직의 데이터와 리소스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습니다. 상반기, MS 인튠 신기능 상반기를 마무리하며 매월 새로운 빌드에서 어떤 기능이 추가되었는지 간단히 요약했습니다. 인튠의 빌드는 인튠 관리센터 – 테넌트 관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반기에 빌드는 2401~2406이며, 각각의 빌드의 새로운 기능은 아래와 같습니다. 서비스 릴리스 2401새로운 UI - UI를 보다 일관성 있게 만들어 기기 관리 시나리오 중심으로 화면 구조를 구성하고 일반적인 관리에 필요한 클릭수를 줄이기 위해 더 많은 메뉴를 배치했습니다. 그리고 흐름에 모니터링 기능을 추가하여 메트릭 및 보고서에 보다 쉽게 액세스하여 관리자가 보다 빠르게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주제별 탭을 통해 쉽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모니터 페이지에서 보고서 및 범주를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고급분석에 새로운 기능 추가 - 인튠 Suite의 고급 분석의 일부로 디바이스에서 KQL(Kusto Query Language)를 사용하여 관리되는 장치의 속성을 실시간으로 조회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엔드포인트 고급 분석의 베터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보고서가 추가되었습니다. 이 기능을 통해 비용이 많이드는 하드웨어 구매에 대해 쉽게 결정을 할 수 있도록 알려줍니다. 서비스 릴리스 2402 크로스 플랫폼 엔드포인트 관리 통합 - macOS 자동화 ㅈ아치 등록(ADE)을 위한 새로운 “await final configuration”은 장치 구성 정책이 다운로드 후 적용되는 동안 최종 사용자에게 설치 보조 환경을 제공합니다. 오토파일럿 기능 향상 - 최종 사용자 경험을 바탕으로 관리자가 중요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사용자의 생산성을 최대한 빨리 향상시킬 수 있도록 유연성을 제공하는 오토파일럿 구현에 새로운 설정이 추가되었습니다. 이전에는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두 가지 조건 중 하나로 설치할 수 있었습니다. 모든 애플리케이션을 차단하면 전체 배포가 실패하거나 일부 애플리케이션을 단하면 부분적으로 사용자 단계에서 오토 파일럿 배포를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새로운 설정을 통해 관리자는 선택한 앱에 대해서만 차단하고 기술자 단계에서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지 못할 경우 계속 진행하게 할 수 있습니다. 차단되지 않은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사용자가 처음 오토파일럿을 위해 로그인할 때 설치가 다시 시도 됩니다. 해당 기능을 통해 최종 사용자와 관리자는 더 효율적인 프로비저닝 환경을 제공합니다 보다 효율적인 드라이브 업데이트 - 지난해 6월에 출시된 드라이버 및 펌웨어 업데이트 기능이 출시되었을 때 많은 기업에서 좋은 반응을 얻었습니다. 이번에는 드라이버 업데이트를 대량으로 승인할 수 있는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해당 기능은 드라이버 배포에 수동 승인 기능을 유지하고 싶지만 관리해야 할 다양한 장치가 있는 관리자들에게 특히 유용합니다. 서비스 릴리스 2403 간소화된 엔드포인트 보안 환경 - 많은 고객이 엔드 포인트 보안 및 디바이스 상태를 더 빠르고 쉽게 액세스하기 원한다는 의견이 많았습니다. 많은 의견에 따라 기기 보안 상태와 같은 중요 정보를 중심으로 Microsoft Defender for Endpoint를 보다 쉽게 구성하고 배포할 수 있도록 개요 페이지가 개편되었습니다.① 커넥터 상태 확인 : 엔드포인트용 Defender와 인튠의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② Windows 장치 EDR(Endpoint Detection and Response) 상태 및 작업 : Windows 장치의 상태를 빠르게 확인하고 배포 옵션에 대해 쉽게 액세스 권한을 얻을 수 있습니다.③ 새로운 사전 구성 정책 : 간소화된 워크플로우를 통해 관리자는 몇 번의 클릭만으로 엔드포인트용 Defender 및 EDR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④ 바이러스 백신 에이전트 상태 확인 : 주요 바이러스 백신 데이터를 시각화하고 방화벽 및 멜웨어 보고서에 쉽게 액세스 할 수 있으며, Defender 포털에 대한 편리한 바로 가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추가로 엔드포인트 검색 및 응답 화면도 새로워졌습니다.①개요 페이지에 표시된 EDR 보고를 다시 작성하는 요약 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② 장치 및 온보딩 상태를 보여주는 EDR 전용 온보딩 상태 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③ 관리자가 장치를 EDR에 신속하게 온보딩 할 수 있는 사전 구성된 정책 배포 옵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Dell 장치용 Bios 보안 및 관리 - 하드웨어 기반 공격의 고도화를 고려할 때 IT 관리자는 디바이스 Bios를 보호하고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합니다. Dell과의 협업으로 Dell 명령 도구로 생성된 Bios 구성 파일을 인튠 관리 장치에 전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인튠 관리자는 고유한 Bios 암호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여기를 누르면 해당 내용을 자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MAM의 세부적인 필터 정책 추가 - iOS 및 Android 디바이스의 장치 필터를 출시했을 때 많은 고객들로부터 좋은 피드백을 받았습니다. 해당 필터가 Windows 디바이스에 적용되어 IT관리자가 어플리케이션 보호 정책 및 구성 정책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런 필터를 사용하면 정책을 보다 세분화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특정 디바이스에 대한 보호/구성 정책을 제외하거나 Windows 10/11에서 최신 보안 업데이트가 있도록 정책을 만들 수 있습니다. 서비스 릴리스 2404 Windows 업데이트 배포 보고서 - IT 관리자는 보안 및 생산성 문제로 관리되는 Windows 디바이스의 월별 품질 업데이트 상태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인튠에 새롭게 출시된 Windows 업데이트 배포 보고서는 어떤 장치에서 어떤 업데이트가 동작했는지에 대한 쉬운 정보를 제공합니다. 새 보고서에 액세스하려면 인튠 관리센터 – 보고서 – Windows 업데이트 – Windows 업데이트 배포 보고서를 선택합니다. 보고서는 모든 장치 정보를 표시하거나 범위 필드의 특정 장치 태그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공동 관리되는 장치가 포함되어 있으며, 전체 장치의 백분율로 업데이트 배포를 표시합니다. 추가로 업데이트가 설치된 장치의 수량을 선택할 수 있어 해당 수에 맞는 디바이스와 추가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릴리스 2405 Windows Autopilot 디바이스 준비 - 기존 Windows Autopilot이 개선된 아키텍처로 Autopilot을 더 빠르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Autopilot 디바이스 준비의 프로파일은 아래와 같이 단일 화면에서 진행할 수 있습니다. 새 보안 기준 - 보안 기준은 인튠의 디바이스에 적용할 수 있는 정책 모음을 한번에 진행할 수 있습니다. 보안 기준은 인튠 관리센터 – 엔드포인트 보안 – 보안 기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보안 기준이 업데이트 되면 왼쪽에 화살표가 표시되며, 해당 화살표를 확인 후 내부 정책 기준에 맞게 정책을 업데이트 할 수 있습니다. 화살표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의 현재 기준이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BitLocker 복구 키 - 새롭게 추가된 기능 중 하나는 BitLocker 복구 키 워크플로 입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BitLocker 암호화 디바이스가 잠기면 관리자에게 전화를 걸어 복구키를 확인합니다. 하지만 이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웹 회사 포털에서 BitLocker 복구 키에 직접 액세스할 수 있으므로 보다 직관적이고 간소화된 복구 경로를 제공하여 지원 팀의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서비스 릴리스 2406 모바일 디바이스를 위한 새로운 문제 해결 도구 - 문제 진단의 일부는 무엇이 잘못된 것인지 뿐만 아니라, 무엇이 문제이고 잘못된 것인지 정의하는 것 입니다. 고객들은 문제 해결 프로세스의 일부로 Microsoft Intune에서 관리하는 장치에서 앱과 구성을 일시적으로 제거하는 간단한 방법을 요청했습니다. 그 결과 RAC(Remove Apps and Configuration)라고 하는 기능이 나오게 되었습니다. RAC 전에 설정을 제거하려면 정책 할당에서 장치를 제외하거나 그룹에서 사용자를 제거한 다음 장치가 체크인할 때까지 기다려야 합니다. 장치를 진단한 후 해당 할당 및 그룹 구성원 자격을 하나씩 복원해야 합니다. 이제 RAC는 일련의 유용한 문제 해결 단계를 제공합니다. ⦁ 어떤 정책 및 앱이 제거/복원되는지 실시간 모니터링⦁ 개별 앱 및 정책의 선택적 복원⦁ 8~24시간 내에 자동 복원 기능을 통해 앱 및 정책의 일시적 제거⦁ 정책 할당 및 그룹 구성원 자격은 변경되지 않음 이 RAC의 초기 릴리스는 7월 초에 배포될 예정입니다. iOS/iPadOS 및 Android 기업 소유 기기를 지원합니다. 세분화된 엔드포인트 보안 액세스 제어 - 역할 기반 액세스 제어(RBAC)는 조직이 강력한 보안 상태를 유지하면서 특정 워크로드에 대한 액세스를 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고객은 지리적 영역, 사업부 또는 여러 팀에서 보안 작업을 수행하는 범위를 관련 정보 및 기능으로만 확장할 수 있도록 보다 세분화된 제어 기능을 제공할 것을 요청했습니다. 이번 최신 릴리스에서는 다음에 대한 사용자 지정 역할을 보다 유연하게 만들 수 있도록 특정 권한 세트를 추가했습니다. ⦁ 엔드포인트 탐지 및 응답⦁ 응용프로그램 제어⦁ 공격 표면 감소 향후 모든 엔드포인트 보안 워크로드에 대한 새로운 권한 세트를 가질 계획입니다. 많은 고객이 보안 기준선 권한이 있는 사용자 지정 역할을 사용하여 보안 워크로드를 관리하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이 역할에 새 권한을 자동으로 추가합니다. 이렇게 하면 기존 사용자에 대한 권한이 손실되지 않습니다. 보안 기준선 사용 권한이 부여된 새 사용자 지정 역할의 경우 기본적으로 새 사용 권한이 포함되지 않고 특정 사용자 지정 역할만 포함됩니다. 이 업데이트는 Microsoft Defender 콘솔을 사용하여 보안 정책을 관리하는 고객에게도 적용됩니다.Intune의 새로운 기능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url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4.06.28
-
Tech Blog
인공지능이 나 대신 보고서와 PPT, 엑셀 작업을 대신 해준다면 얼마나 편리할까요? 상상 속에서만 꿈꾸던 장밋빛 직장생활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빅테크를 중심으로 업무용 AI 툴이 진화를 거듭하고 있거든요. 직장인 4명 중 3명은 'AI'와 일하는 중 이미 현명한 직장인들은 AI를 일상에 성큼 들여놓고 있어요. 마이크로소프트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전세계 근로자 75%가 이미 직장에서 AI를 사용하고 있다고 해요. 그래서 과연 실제로 업무가 빨라졌냐고 물으신다면, 대답은 'YES!'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지난해 발표한 것에 따르면, 코파일럿 사용자 29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70%가 '이전보다 생산성이 높아졌다'고 답했어요. OECD가 지난 3월 발표한 '직장 내에서 AI 사용' 보고서에서도 주요 OECD 회원국 근로자 80%가 'AI로 업무 성과가 높아졌다'고 응답했다고 하네요. 그래서, 내 보고서를 대신 써줄 AI는 뭔데? 빅테크 업체들은 앞다퉈서 업무용 AI 툴을 소개하고 있어요. 구글은 이달 중순 열린 연례 개발자회의 '구글 I/O 2024'에서 AI 모델 '제미나이 1.5' 시리즈를 소개하고, 이것을 구글 워크스페이스 등 자사 서비스에 적용하겠다고 밝혔어요. 구글 워크스페이스는 우리가 잘 아는 지메일, 구글 독스, 구글 시트, 구글 미트 등을 포함하는 업무 툴이에요. 제미나이를 활용하면, 지메일 등 구글 앱에서 개인정보를 확인하고 이용자 스케줄을 짠다거나, 화상회의 녹화본을 알아서 요약하는 등 여러가지 활동이 가능해져요. 아마존은 17일 개최한 'AWS 서밋 서울 2024'에서 '아마존Q 비즈니스'를 소개했어요. ‘아마존Q 비즈니스’는 기업 데이터, 시스템과 결합해 복잡하고 긴 문서를 요약하고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를 제공할 수 있는 AI도구입니다. 회사에서 워드, PPT, 엑셀은 다들 사용하시겠죠? 마이크로소프트의 생성형 AI '코파일럿'은 업무용 앱들과 결합해서 데이터를 요약하거나 콘텐츠를 생성해주고 있어요. 자연어를 사용해서 업무를 자동화할 수 있는 것이죠. 예컨대 아웃룩에서 코파일럿을 이용하면, 메일 답장 초안을 알아서 만들어주거나 지난 내용들의 히스토리를 요약하는 것이 가능해집니다. 워드에서는 업무 문서를 각종 양식에 맞춰 작성하거나 수십 페이지의 보고서를 요약할 수 있어요. 파워포인트에 보고 내용을 담은 워드파일만 넣으면 PPT 초안이 뚝딱 만들어집니다. 반가운 소식은, 지난 4월 30일 드디어 한국어 버전 코파일럿이 출시됐다는 겁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단순히 번역 수준이 아니라, 한국어의 맥락과 한국 문화까지도 이해하고 있다고 소개했습니다. 사용자는 이제 한국어 자연어 명령을 통해 PPT를 만들고, 보고서를 작성하고,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어요. 다만, 아직 엑셀은 영어만 지원한다고 하네요. 나도 코파일럿 써보고 싶어! 아직은 기업용 M365 코파일럿만 한국어 버전 사용이 가능해요. 개인용 유료서비스인 '코파일럿 프로'에서는 사용할 수 없어요. 기업이 M365 코파일럿을 성공적으로 도입하기 위해서는 조직의 요구사항과 성취하고자 하는 목표를 확인하고, 조직 보안 환경에 대한 검토 및 개선이 필요하며, 도입 이후 사용자 및 이해 관계자 교육 등이 필요해요. 메타넷티플랫폼은 마이크로소프트 365 관련 최고 수준의 전문인력과 노하우, 기술력을 바탕으로 기업의 현명한 AI 활용과 업무 자동화를 지원하고 있답니다. 우리 조직에 코파일럿을 도입해 더 효율적으로 일하고 싶다면, 메타넷티플랫폼과 더 자세히 알아보세요!
2024.0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