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ech Blog
디지털 시대의 기업들은 서비스 품질을 개선하고, 프로젝트 관리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다양한 디지털 솔루션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특히, 프로젝트 기반 서비스 비즈니스에서는 고객의 요구에 맞춘 정확한 일정 관리, 자원 배치, 비용 추적 등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이러한 복잡한 서비스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데 있어 SAP Professional Service는 강력한 도구로 자리 잡고 있는데요 이번 블로그에서는 어떻게 서비스 산업에서 효율적인 프로젝트 관리와 자원 최적화를 지원하는지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Professional Service란?SAP Professional Service는 프로젝트 관리, 자원 계획, 계약 관리, 청구 처리 등 여러 핵심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기업들은 서비스 제공의 정확성을 높이고,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완료를 보장하며, 비용 절감과 자원 최적화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습니다. Professional Service는 청구 가능한 직원과 함께 프로젝트를 판매하고 제공함으로써 수익을 창출하는 목적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솔루션을 주로 사용하는 기업은 IT 및 비즈니스 컨설팅, 감사 및 세무 회사인데요. 이들은 수익성이 가장 높은 프로젝트와 수익성이 낮은 프로젝트에 대한 투명성을 필요로 합니다. 그렇다면, Professional Service(PS)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EPPM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EPPM과의 차이점EPPM(Enterprise Project and Portfolio Management)이란, R&D / Engineering LoB(Line of Business) 솔루션에 속해 있는 Function Area로, 주로 투자 프로젝트, 간접비 프로젝트(내부), 수주프로젝트, 통계 정보로 구분하는데요. Professional Service와 EPPM은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차이가 존재합니다. ▶ PS: 프로젝트 기반 서비스의 E2E 지원을 위한 구체적인 솔루션(ex. 컨설팅/감사/세무 계약)으로, 프로젝트 재무, 청구 및 자원 관리에 초점을 둡니다.▶ EPPM: 산업 전반, 유형 별 프로젝트 관리 기능(ex. 투자, 주문 생산, R&D, IT, 내부 프로젝트)으로, 건설, 엔지니어링 등 구조화된 프로젝트에 초점을 둡니다.따라서, 두 솔루션은 프로젝트 관리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지만, 용도와 목표가 다르기 때문에 기업이 선택하는 솔루션은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Professional Service의 기능 및 이점 Professional Service는 SAP S/4HANA Cloud Public Edition에만 존재하는 새로운 기능이라고 볼 수 있으며, 기존 SAP의 모듈과 긴밀하게 통합되어 있는데요. 프로젝트 재무 및 리소스 관리에 중점을 둔 Order-to-Cash 프로세스를 E2E(End-to-End)로 지원합니다. 특정 솔루션과 모범 사례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한 전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프로젝트 생성부터 인적 관리, 판매 오더 생성, 청구 문서, 이벤트 기반 수익 인식 등의 많은 프로세스가 자동화됩니다. 이러한 자동화는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프로젝트 수행에 필요한 다양한 관리 기능들을 원활하게 연결해줍니다. 상업 프로젝트는 영업, 재무, 구매, 청구 등 여러 분야에 긴밀하게 통합되어 있어, SAP Professional Service는 이러한 복잡한 상호작용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각 영역 간의 흐름을 원활하게 지원합니다. 결론적으로 SAP Professional Service는 단순한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을 넘어, 서비스 제공의 정확성, 자원 최적화, 그리고 비용 절감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강력한 솔루션입니다. 이를 통해 기업들은 프로젝트의 각 단계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성공적인 프로젝트 완료를 보장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통합적인 서비스 관리와 자원 최적화를 통해 기업은 더 나은 서비스 품질을 제공하고, 전체적인 비즈니스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선 인공지능 기반 소프트웨어 기업(A사)의 고객 사례에 대해 공유드릴 예정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2025.01.09
-
Tech Blog
다양한 기기와 연결 옵션이 증대됨에 따라 상황과 환경에 상관없이 일관된 사용자 경험이 중요하다는 것은 과언이 아닌데요. ERP(전사자원관리) 시스템도 예외는 아닙니다. 이런 관점에서 SAP S/4 HANA에서 제공되는 핵심 기능 중 하나인 SAP Fiori(피오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SAP ECC 버전을 사용한 경험이 있는 사용자들은 SAP 화면에 대해 디자인 측면에서, 또 여러 기기와의 호환성 측면에서 답답함을 느끼신 적 있으실 것으로 생각합니다. 한편, SAP Fiori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가장 강조하는 부분은 ‘모든 기기와 사용자를 위한 현대적인 사용자 경험’입니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 SAP Fiori가 무엇인지 쉽고 빠르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SAP ECC 버전의 경우 데스크톱 전용 UI 환경으로 SAP GUI를 반드시 설치해야 시스템 접속이 가능했습니다. 또한 복잡한 메뉴 설계로 Transaction Code라고 하는 T-Code를 알아야 메뉴에 접근이 가능했습니다. 하지만 Fiori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경우 멀티 디바이스 지원 UI 환경으로 웹 브라우저를 통한 접속이 가능합니다. 또한 아래 5가지 원칙을 기반으로 생성되어 제품과 상관없이 동일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합니다. 뿐만 아니라 Fiori와 ECC 버전의 UI를 모두 사용할 수 있어 ECC 버전이 편리한 사용자의 경우 단계적으로 Fiori 앱에 대한 적응도를 높여갈 수 있습니다. 또한 동일한 업무 프로세스를 SAP ECC 버전과 S/4 HANA Fiori Apps에서 진행했을 시에 진행 시간, 클릭 횟수 등이 크게 줄어들어, 약 2배 이상 효율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SAP Fiori Launchpad SAP Fiori Launchpad의 홈페이지는 타일들로 구성됩니다. 타일은 Fiori 앱 및 Fiori 테마가 적용된 Classic UI를 호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동시에, 그래픽으로 정보를 표현해줌으로써 홈페이지 자체에서 KPI 모니터링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SAP Fiori Elements Apps과 SAP Fiori Tools SAP Fiori Element Apps은 SAP Fiori에서 개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앱을 말합니다. SAP Fiori Element Apps와 SAP Fiori Tool은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메타데이터 중심 접근 방식을 적용하여 개발자의 효율성을 높이고, 사용자 경험의 일관성을 보장하며, 계속해서 진화하는 SAP Fiori 디자인 가이드라인에 따라 앱을 최신 상태로 유지 및 사용하는데 이점이 있습니다. 해당 Elements 앱은 Fiori Tools을 이용하여 비교적 쉽게 제작할 수 있습니다. - 마법사 스타일 접근 방식 사용- 일관된 앱 체계 보장- 단계별 개발 가이드 제공- 코드 일관성 향상- 앱 유지 관리 간소화- 주석 작성에 필요한 공수 절약 가능 지금까지 SAP Fiori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해 설명 드렸습니다. 메타넷글로벌 고객 중에는 통합업무시스템 구축 프로젝트에서 SAP S/4 HANA를 도입하면서 소개 드린 Fiori 의 장점을 십분 활용하여 Fiori Launchpad를 단일 엔트리 포인트로 활용하여제 3자의 앱이나 업무 포탈 등을 연결하여 효과적으로 업무를 진행하고 있는 사례들이 있습니다. 이에 대한 설명 및 SAP ERP 구축 등에 대한 궁금증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메타넷글로벌에 문의주시기 바랍니다.
2024.12.16
-
Tech Blog
연결 회계를 사용하고 있는 기업들은 특히 주목하세요! SAP S/4 HANA Public 버전 Finance 모듈을 사용하시면 SAP 기존의 연결 회계 솔루션들의 장점만을 취합하여 가장 최적의 연결 결산 환경을 제공하는 SAP Group Reporting 기능을 추가 라이선스 비용 없이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결 재무제표란? 연결 재무제표는 두 개 이상의 회사를 경제적으로 한 몸(연결 실체)로 간주하고 한 회사인 것처럼 재무제표를 작성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각 회사의 재무 항목들은 모두 더하고 중복 분은 제거해야 제대로 된 연결 재무제표가 생성됩니다. SAP Group Reporting의 특장점 연결 결산이 어려운 이유 중 하나는 지배기업인 본사에서의 결산 뿐 아니라 종속 기업들의 개별 결산은 개별 결산대로 완료하고 연결 재무 자료를 만들어내야 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내부거래 대사 과정에서 대사 과정을 위한 많은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하며, 내부거래 데이터간 불일치 이슈를 해결하는데도 많은 시간과 어려움이 따릅니다. SAP S/4 HANA Public Cloud에서는 이런 고객들의 Pain points를 이해하여 Finance 모듈을 사용하는 경우 Group Reporting 기능을 추가 라이선스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Group Reporting 기능을 사용할 경우 거래 기준의 매칭 및 대사의 실시간 프로세스가 제공될 뿐만 아니라 내장된 워크플로우에 의한 매칭 차이 처리 자동화, 로컬 결산으로부터 연결 결산의 연속적인 프로세스 활용 등이 가능하여 연결 결산을 이전보다 훨씬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Group Reporting 솔루션에 대해 조금 더 기능적으로 설명드리자면, 각 기업의 개별 재무재표 생성을 위해 회계 담당자들이 해야 할 테스크와 연결 회계 담당자가 해야 할 테스크를 나눠서 확인할 수 있어 연결 결산에서 필수적으로 실시해야 하는 프로세스들을 표준화하여 빠짐없이 수행할 수 있습니다. 개별 기업 회계 담당자가 해야 할 테스크는 데이터 모니터라는 앱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모니터 앱에서는 연결 분개 데이터를 가지고 오거나, SAP를 사용하지 않는 연결 단위의 회사 데이터를 업로드 하는 엑셀 업로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또한 순 이익 계산을 통해 회사의 순이익을 계산할 수 있으며, 수동 전기를 통해 수정이 필요한 분개 데이터의 경우에는 수정이 가능합니다. 통화 환산을 통해 로컬 통화로 되어 있는 해외 법인의 데이터를 그룹 통화로 변환하는 작업도 가능합니다. 연결 회계 담당자가 해야 할 테스크는 연결 모니터 앱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해당 앱을 통해 내부 거래를 제거하거나 미 실현 손익을 제거하고 투자/자본 상계와 같은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연결 재무제표를 산출할 수 있습니다. SAP Group Reporting 사용 A사 사례 Group Reporting 기능을 사용하여 연결 결산을 진행하고 있는 A사 사례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연결 결산을 진행하고 있는 A사의 경우 아래 그림에서 보듯이 한국 본사에서는 온프레미스 S/4 HAHA Private 버전을 사용하면서 해외 법인에는 SAP S/4 HANA Public Cloud를 사용하는 SAP 2 Tier ERP 전략을 채택하였습니다. A사의 미국법인과 캐나다법인은 하나의 SAP S/4HANA Public Cloud테넌트안에 Company Code로 분류하여 개별결산을 수행합니다. 개별결산 수행 후, Group Reporting의 공통분개 릴리즈 기능을 사용하여, 법인별 시산표 데이터를 추출합니다. 추출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통화환산, 내부거래 제거 등의 데이터 모니터, 연결 모니터의 태스크를 수행하고나면 내부보고용 북미법인 연결재무제표가 완성됩니다. 유럽 법인 역시 동일한 테넌트 안에 Company Code로 분류하여 개별결산을 수행하고, 별도의 개발 없이 본사와 미국, 캐나다, 유럽의 시산표를 합산하여 연결 조정 분개 및 연결결산을 진행합니다. SAP 2 Tier ERP 전략에 대해 더 알고 싶으시다면 링크를 통해 Ebook을 다운로드 해보세요. 연결 결산 작업은 어렵고 복잡하지만 SAP S/4 HANA Public 버전 Finance 모듈을 사용하실 경우 가장 최적의 연결 결산 환경을 제공하는 SAP Group Reporting 기능을 무료로 사용하실 수 있어 연결 결산 작업에 있어 조금은 더 쉽고 편리하게 관리하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SAP S/4 HANA Public Finance 모듈 구축에 관한 걱정과 질문 사항이 있다면, 메타넷글로벌과 상담하세요!.
2024.12.02
-
Tech Blog
기업들은 빠르게 변화하는 제조 환경에서 생산의 효율성을 높이고, 고객 수요에 민첩하게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과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생산 관리, 재고 관리, 자재 소요 계획과 같은 주요 생산 활동들이 여러 시스템에 분산되어 있다면, 비효율적인 운영과 불필요한 비용 발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라는 공장의 생산 일정 관리는 a라는 시스템에서, 자재 공급 계획은 b라는 시스 템에서 이루어진다면, 생산 담당자는 매번 여러 시스템을 확인하고 정보를 수작업으로 조정해야 할 것입니다. 그러나 이들이 한 시스템 안에서 유기적으로 통합되어 관리된다면, 전반적인 생산 과정의 가시성과 효율성은 크게 향상됩니다. 즉, 생산 일정에 맞춘 자재 확보와 재고 관리, 작업 지시까지 모두 하나의 시스템에서 계획하고 운영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점에서 SAP PP(Production Planning) 모듈은 생산 과정의 통합과 최적화를 지원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생산 계획 수립, 자재 소요 예측, 일정 관리, 작업 지시 등의 프로세스를 하나의 통합된 플랫폼에서 관리할 수 있게 함으로써 불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줄이고 생 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합니다. SAP PP는 기업이 복잡한 생산 환경에서도 효율적인 운영을 가능하게 하며, 신속한 의사결정을 지원합니다. 이제 SAP PP 모듈이 생산 운영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함으로써 제조업에서의 디지털 혁신을 어떻게 실현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SAP PP란? SAP PP(Production Planning) 모듈은 제품 생산과 관련된 프로세스를 담당하는데요. 기준 정보를 바탕으로 생산 계획, 생산 실행, 실적 분석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기준 정보는 생산에 필요한 기초 데이터를 정의하는 단계로 Material Master(자재 정보), BOM(자재 명세서), Work Center(작업 공간), Routing(작업 절차)이 포함됩니다. 생산 계획은 수요 예측과 자재 소요 계획을 통해 필요한 자재와 자원을 계산하고, 생산 일정을 수립하여 필요한 자재가 적시에 준비되도록 합니다. 생산 실행은 생산 오더를 생성하고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로, 실제 생산 과정에서 작업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생산 관련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실적 분석은 생산 결과를 검토하고 성과를 분석하여 생산 과정의 효율성을 평가하는 단계로, 생산 비용, 소요 시간 등을 분석해 개선 사항을 도출합니다. 프로세스 수익성 분석 정보, 영업 정보 시스템, 수요 예측에 따라 총괄생산계획을 산출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이를 바탕으로 보다 자세한 생산 계획이 도출됩니다. 이 과정에서 수요 변동이나 시장 상황을 반영하여 생산 일정과 자원 배분을 최적화합니다. 만약 자재가 부족하다면 구매를 요청하여 공급망과의 원활한 소통을 도모합니다. 반면, 자재가 충분할 경우에는 생산이 실행되며, 이때 실시간으로 생산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은 기준 정보, 생산 계획, 생산 실행, 그리고 실적 분석이라는 네 가지 주요 영역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효율적인 생산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합니다. 이러한 통합된 접근 방식은 기업이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시장의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사례 그렇다면 SAP PP를 이용한 기업 중 지멘스의 사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지멘스는 독일 의 제조 기업으로, SAP PP 모듈과 S/4HANA를 활용해 디지털 팩토리를 구축했습니다. SAP PP의 실시간 데이터 수집 및 통합 관리 기능을 통해 전체 공정에서 데이터를 투명하게 관리하여 공정 효율성을 높였습니다. 이를 통해 부품의 재고 관리 및 생산 라인 효율을 최적화했고, 필요에 따라 생산 일정을 유연하게 조정하여 납기를 개선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AI 기반 수요 예측을 활용해 자재 소요 계획을 자동화함으로써 자재 비용을 절감하고 공정에서 의 낭비를 최소화했습니다. 디지털 전환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는 가운데, SAP PP 모듈은 기업들이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지멘스의 사례는 이러한 변화를 통해 어떻게 효율성을 높이고 운영을 최적화할 수 있는지를 잘 보여줍니다. 메타넷글로벌은 SAP 솔루션 도입을 통해 성공적인 디지털 혁신을 이루고자 하는 기업의 전문 파트너로서, 다양한 글로벌 벤더와의 협업을 통해 맞춤형 전략을 제공합니다. SAP PP 모듈의 도입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가치를 창출하고 싶으시다면, 메타넷글로벌과 상담하세요!
2024.11.18
-
Tech Blog
BI란? BI(Business Intelligence)란 비즈니스 데이터를 분석하고 실행 가능한 인사이트로 전환하여 조직의 합리적인 의사결정에 사용되는 프로세스 및 툴을 말합니다. BI는 현재와 이력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해하기 쉬운 리포트, 대시보드, 차트 등의 형태로 결과를 제공하는데요. 대량으로 수집된 비즈니스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을 수행하고 시장 동향 파악으로 기업 이익 향상에 기여합니다.그렇다면, 이런 BI를 활용하면 어떤 이점이 있을까요? BI 대시보드를 통한 원활한 KPI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목표 대비 진행 상황 추적이 용이합니다. 또한 시장 동향을 빠르게 파악하고 경쟁사 대비 조직의 역량을 평가하여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도 있습니다.다음 기업들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위하여 BI를 도입하였으며, SAP Analytics Cloud를 택하였습니다. IKEA는 공급망 관리 영역에서 물동 및 재무 계획 연계를 통한 민첩한 시장 대응에 나섰습니다. SIEMENS는 영업 부문의 계획 및 분석 역량을 강화하였습니다.그렇다면, BI라는 것은 조직이 데이터 기반의 비즈니스 의사결정을 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도록 지원하고 있음을 알면서, SaaS 기반 SAP 분석 클라우드 솔루션인 SAP Analytics Cloud에 대해 다루겠습니다.SAP Analytics Cloud(SAC)SAP Analytics Cloud는 Intelligent Enterprise를 위한 차세대 클라우드 분석 솔루션입니다.기존 SAP의 On-Premise Analytics 솔루션이었던 BI, BPC, PA 솔루션들이 담당하고 있던 업무 영역을 Cloud 기반에서 운영할 수 있게 만든 솔루션이며 증강 및 예측 분석과 계획 기능을 단일 클라우드 환경에 결합한 플랫폼입니다.SAC의 특장점으로는 직관적인 UI와 통합된 분석 Capabilities로부터 새로운 인사이트 도출이 가능하다는 점이 있습니다. 또한 데이터 탐색 및 Self Service를 통한 사용자 역량 강화 및 신속한 분석 workflow를 제공하며 최신으로 유지되는 솔루션 및 애플리케이션 확장성이 용이하다는 점 역시 꼽을 수 있겠습니다.주요 기능으로는 데이터 분석 및 탐색, 예측 및 영향 분석, 예산 및 계획 관리를 뽑을 수 있겠습니다. BI 영역에서 스토리 디자인과 시각화를 담당하고 Predictive 영역에서는 머신러닝 기술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Planning 영역에서는 시뮬레이션과 조정 기능을 제공하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다른 기능들도 포함할 것이지만, BI에 초점을 맞추어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SAP Analytics Cloud BI 영역에서의 주요 기능우선 다양한 데이터 소스에 접근이 가능한데요. 사용자의 로컬 데이터와 기업 데이터를 브라우저에 통합하고 시각화를 통한 분석이 가능합니다. 또한 SuccessFactors와 Concur 등 클라우드 솔루션의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고, Live Access 기능을 통해 사내의 민감한 데이터는 기업 내부망 안에서 액세스가 가능합니다.다음으로는 셀프 서비스를 제공하는데요. 데이터 뷰 기능을 통해 관심있는 데이터를 클릭하는 간단한 조작으로 데이터를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자동으로 추천하는 시각화 차트로 결과를 제공합니다. 사용자와의 공유 역시 가능한데요. 채팅 기능을 통해 팀원들과의 간단한 협업이 가능하고, 댓글 기능을 통해 차트와 표에 댓글을 작성하여 팀 내에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토론이 가능합니다. SAP Analytics Cloud를 통해 사용자는 단일 플랫폼에서 데이터를 넘어 비즈니스 전반에 인텔리전스를 적용함으로써 통찰력을 얻고, 최신 사용자 경험과 사용성 표준을 준수하며 일관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데이터 접근, 변환 및 거버넌스를 지원 하는 엔드 투 엔드(End-to-End) 데이터 관리 도구 및 분석 기능을 제공합니다.데이터 프라이버시 규범이 전 세계적으로 강화되는 상황에서 이는 전보다 더욱 중요해졌는데요. 이는 기업용 빅데이터 지원 SAP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실행되며, 변화하는 비즈니스 요구를 충족하기 위한 확장성을 제공할 것입니다. SAP Analytics Cloud 솔루션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고 싶으시다면, 메타넷글로벌과 상담하세요! <작성: 메타넷글로벌 BI/SAC Team>
2024.11.11
-
Tech Blog
도입도 어렵고 관리도 어려운 해외법인 ERP, 쉽고 빠르게 구축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요?ERP 도입에 중요한 요소인 안전성과 민첩성 측면에서 가장 효율적인 해외법이 ERP 도입 전략이 무엇인지 고민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국내기업의 해외법인 ERP 구축 경험을 가지고 있는 메타넷글로벌 SAP팀에서 <해외법인의 SAP ERP 도입 전략>eBook을 무료로 배포합니다.
2024.10.31
-
Tech Blog
이번 포스팅에서는 SAP 권한 체계와 권한 생성 및 부여 방법에 대한 내용을 간략히 공유하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권한 체계 우선 사용자 ID가 존재해야 하며, 이 아이디에 비즈니스 권한을 부여하게 됩니다.'비즈니스 권한'은 비즈니스 카탈로그를 가진 단위로, 비즈니스 역할이라고도 합니다. 하나의 비즈니스 권한은 하나 혹은 여러 개의 비즈니스 카탈로그를 가지고 있습니다. 사용자는 본인의 담당 업무에 해당하는 비즈니스 권한과 그에 속한 카탈로그를 부여받게 됩니다.이 카탈로그가 어떤 Fiori 앱과 연관 되어 있는지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런치패드에 해당 앱이 표시될지 아닐지 여부가 결정됩니다. 쉽게 말하자면, 어떤 앱이 보여지는 지는 카탈로그를 가지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에 따라 검색 가능한 앱을 조정하여 업무 및 권한을 제공하게 됩니다. 간단한 예시로, 일반 회계 담당자가 아닌 직원이 회계 관련 카탈로그를 갖지 않게 함으로써 담당 업무에 제한을 거는 방식이 있겠습니다. 권한 생성 및 부여 방법 권한 생성 방법은 개발 및 커스터마이징 테넌트에서 생성하는 방법과 테스트 테넌트를 이용하는 방법, 그리고 운영시스템에서 생성하는 방법이 다릅니다. 개발 및 커스터마이징 테넌트에서는 초기 사용자로 로그인을 해야 하며, 해당 유저는 보통 IT 담당자입니다. 그 후 자기 자신에게 해당 HR role을 부여한 후 업무 진행이 가능하며,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겠습니다. 1. 개발 시스템에서 초기 관리자로 로그인2. 비즈니스 역할 유지보수 앱에서 HR 관련 비즈니스 역할 생성3. 사용자 유지보수 앱에서 방금 생성했던 역할을 본인에게 직접 부여4. 인력 관리 앱에서 신규 ID 추가 가능5. 신규 ID와 신규 사용자는 별개이므로, 다시 비즈니스 사용자 유지보수 앱에 가서 신규 사용자를 생성 후 역할 부여6. 해당 ID를 IAS에서 import를 시키면서 IAS와 클라우드 시스템 간 데이터 sync를 맞추기테스트 테넌트에서는 직접 만드는 것이 아닌, 개발에서 만든 권한을 전송 후 import하는 방식으로 반영하므로 사용하는 Fiori 앱도 다릅니다. 개발 및 커스터마이징 테넌트의 커스터마이징 전송 엑스포트 앱에서 기본 CTS를 전송하고, 소프트웨어 컬렉션 전송 엑스포트 앱에서 정의한 비즈니스 역할을 전송합니다. 이것을 테스트 테넌트에서 import 하는데, 개발 시스템에서 정의했던 역할들이 테스트 테넌트에서도 적용됩니다. 이후 절차는 위 정리 부분과 동일하고, IAS에서 import 후 사용자에게 이메일이 전송되는데요. 사용자가 이메일에서 활성화 진행 후 SAP 시스템에 로그인 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운영 테넌트는 테스트와 거의 동일한데요. 테스트 시스템에서 CTS 및 소프트웨어 컬렉션을 전송하는 방식으로 운영 시스템의 권한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개발 및 커스터마이징 테넌트에서는 역할을 커스텀해서 만드는 것이고, 테스트 및 운영은 앞서 만든 비즈니스 역할을 전송 및 import하여 시스템에 반영하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SAP 권한 관리 체계와 관리 방안에 대해 간략히 공유하는 시간을 가져보았습니다.다음에도 유익한 지식을 공유드릴테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SAP 도입 및 운영에 대해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다면, 메타넷글로벌과 상담하세요!
2024.10.16
-
Tech Blog
많은 기업에서 업무 효율성을 높여 TCO(Total Cost of Ownership, 총소유비용) 절감을 고민하고 있습니다.특히 단순 반복 작업을 도와주는 RPA 도입을 검토해 보신 기업들도 많으실 텐데요, 구체적으로 어떤 업무를 어떻게 자동화해서 업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지 메타넷글로벌의 실제 사례를 공유합니다.이 프로젝트는 반복적인 수작업으로 인해 높은 공수가 투입 되었던 세금계산서 대사 작업을 RPA 솔루션을 통해 자동화한 사례입니다. A사의 Pain point위수탁 공급업체에서 홈택스를 통해 직접 발행하는 전자세금계산서는 SAP 시스템에 등록되는 전자세금계산서 자료와 별도로 구매 ERP에 수기 등록해야 하는데, 인보이스 대사 작업하는데 너무 많은 시간이 걸립니다. 개선 전 업무 프로세스입니다.1. 담당자가 위수탁 건에 대해서 홈택스 발행 전자세금계산서 파일을 다운로드 합니다2. 담당자가 SAP 전자세금계산서 내역을 다운로드하여 홈텍스 파일과 비교 대사합니다.3. 담당자가 누락된 세금계산서에 대해 확인 및 검증 작업을 진행합니다.4. 담당자가 해당 세금계산서를 구매 ERP에 업로드 합니다. 메타넷글로벌에서는 고객의 Pain points를 해결하기위해 아래의 TO-BE 프로세스를 구상하여 RPA 솔루션으로 구현하였으며 위의 모든 업무를 자동화하였습니다. TO-BE 업무 프로세스입니다.1. 로봇이 홈택스에 세금계산서 파일을 다운로드 합니다.2. 로봇이 해당 세금계산서와 SAP 전자세금계산서 내역을 다운로드하여 대사합니다3. 로봇이 대사한 결과 및 누락된 결과를 담당자에게 이메일 발송합니다.4. 로봇이 누락된 세금계산서를 구매 ERP 업로드 파일 템플리트에 맞게 전환 및 입력하여 자동 업로드 합니다. 이처럼 A 사는 세금계산서 대사 작업 및 구매 ERP 업로드 작업을 자동화하여 구매 및 재무 담당자가 처리해야 하는 단순 반복 업무가 크게 줄어들었습니다.또한 담당자가 다량의 세금계산서를 대사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휴먼 에러가 줄어들어 업무의 정확도가 크게 개선되었습니다.메타넷글로벌은 업무 자동화에 대한 전문 지식과 축적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고객사의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TCO를 절감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SAP ERP 연계 업무 자동화에 대해 상담하고 싶으시다면 메타넷글로벌에 문의해 주세요. * 적용 RPA 솔루션 : 블루프리즘에서 제공하는 엔터프라이즈급 RPA 툴로 기업들이 반복적이고 규칙 기반의 업무를 자동화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2024.08.30
-
Tech Blog
S/4HANA 성공적인 컨버전 1편에서는 SAP ECC 서비스 종료가 임박해 오는 가운데 SAP S/4HANA 전환은 왜 해야하고, 어떤 장점이 있는 지에 대해서 살펴봤습니다. 1편 보러가기 >> https://metanetglobal.com/bbs/board.php?bo_table=tech&wr_id=91 SAP S/4HANA 컨버전 2편에서는 SAP S/4HANA로 마이그레이션 하기 위해서 구체적으로 어떤 플랜으로 어떻게 진행해야 하는지 가이드를 알려 드리겠습니다. 1. S/4 HANA로의 컨버전 어떤 플랜을 가지고 진행해야 하나요? - 컨버전 플랜은 크게 사전 점검과 컨버전 프로세스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사전 점검 프로세스는 필수 단계로 SAP Readiness Check활용해서 진행합니다. - Custom Vendor Integration(CVI) 컨버전 작업도 필수적으로 이루어 져야 합니다.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SAP 컨버전 사전점검 프로세스 사전 점검 프로세스는 시스템 컨버전을 위한 사전 조치 항목을 확인하고 작업하는 단계입니다. ① SAP Readiness Check (SAP 사전 점검) 솔루션 통한 점검 현재 ECC 시스템이 S/4 HANA로 컨버전하기에 적합한 지 점검하는 것으로, SAP Readiness Check (SAP 사전 점검) 솔루션을 통해 진행됩니다. 먼저 현재 ERP 시스템(Add-On 솔루션 포함)이 기술적으로 S/4HAHA 전환 가능한 지 확인합니다. 사전 점검 체크리스트는 아래와 같습니다. - 하드웨어, 운영 시스템 버전 - 현재 운영 시스템이 UniCode(Unix to Linux) 버전인가? - ABAP only 환경인가? - 현재 사용중인 ECC 6.0 Enhancement Package(EHP) 버전과 컨버전하려는 타깃 시스템 버전이 몇인가? 또한 S/4HAHA Simplification List(간소화 항목 점검)을 통해 어떤 업무 기능들이 어떻게 변경되었는 지와 ECC Data 적합 여부를 확인합니다. Simplification List는 어플리케이션 혹은 아키텍처 변경이 필요한 사항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는 기능으로 SAP S/4HANA 1709 에는 약 502개의 아이템이 존재하며 비즈니스 우선순위((e.g. Core Finance)와 산업군으로 그룹화 되어 제공합니다. SI(Simplication Item) Check Report(/SDF/RC_START_CHECK)를 실행할 경우 컨버전에 대한 제약 사항 및 조치해야 할 Step이 확인 가능하며 이를 기반으로 작업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② Custom Vendor Integration(CVI) 컨버전 작업 진행 ECC의 Customer/Vendor는 S/4HAHA에서 “비즈니스 파트너”로 통합관리 됩니다. 즉 S/4HANA 에서는 비즈니스 파트너를 통한 고객 및 공급업체이 필수 사항입니다. 따라서 ECC에서 사용하던 데이터와 S/4 HANA에서 사용할 데이터에 대한 합을 맞추기 위해 CVI(Customer Vender Integration) 컨버전 작업을 수행해야 합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Custom Code는 SI Check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지만, 추가 서비스 비용을 지불할 경우 “Custom Code Management”라는 기능을 사용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과 작업 별 우선순위 등을 분석한 레포트를 받아볼 수 있습니다. 3. SAP 컨버전 프로세스 이렇게 사전 점검 프로세스를 다 마친 후에야 ECC 시스템의 쉐도우(복제)를 기준으로 대망의 S/4 HANA 컨버전 작업이 수행됩니다. 컨버전은 Software Update Manager(SUM) 설치를 통해 S/4 HANA 쉐도우(복제) 시스템이 생성되며 ECC에서 기 사용하던 내용을 S/4 HANA에서 사용할 것인지와 오류를 확인하는 프로세스가 진행됩니다. 이 작업이 완료되면 이후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와 HANA 데이터 베이스로 데이터 마이그레이션이 이뤄집니다. Custom Code Adaption 작업은 기존에 ECC에서 사용하던 Custom Built-on(CBO)1) 소스 코드를 S/4HANA에서 사용할 경우의 기능, 성능, 안전성 등의 이슈가 있는 지를 점검하고 소스 코드 변경 및 예외 처리 작업 등을 수행하게 됩니다. [주석]Custom Built-on(CBO) : 고객 기업에서 자체적으로 만든 테이블을 총칭하는 용어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S/4 HANA 컨버전이 어떤 계획에 의해 어떤 방식으로 진행되는 지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았습니다. 전사적으로 사용하는 시스템 자체에 대한 컨버전 작업이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에 그 내용을 알면 알수록 더 복잡해지는 기분이 드실 수도 있으나 걱정하실 필요없습니다. S/4 HANA 시스템과 S/4 HANA 컨버전에 있어 전문가 메타넷글로벌이 다수의 프로젝트 경험을 통해 쌓인 노하우를 가지고 여러분의 어려움을 시원하게 해결해드릴 수 있습니다. 다음 블로그 포스팅을 통해서는 실제 S/4 HANA 컨버전 사례를 통해 조금 더 구체적으로 그 내용과 방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2024.08.19
-
Tech Blog
지난 7월 9일, 'SAP Now Korea 2024' 행사가 진행되었습니다. 급속도로 변모하는 경영 환경에서 기업이 끊임없이 혁신을 추구할 수 있도록 최신 솔루션 정보를 제공하는 SAP 코리아의 연례행사로, 다양한 산업에서 업계를 이끌어 가고 있는 국내 기업들이 참석했습니다. 메타넷글로벌도 이 자리에서 SAP S/4HANA Cloud ERP를 통해 소비재·유통산업에서 고객의 비즈니스를 혁신한 사례를 공유하게 되었습니다. 이경수 상무가 세션에 참가하여 RISE with SAP / GROW with SAP 패키지에 대한 인사이트를 전달하였습니다. RISE with SAP SAP S/4HANA Cloud ERP 중, 고객 맞춤형으로 제공 가능한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하는 패키지가 'RISE with SAP'입니다. 고객의 요구사항이 복잡하고, 많은 데이터와 프로세스를 통합해야 할 경우 RISE with SAP로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도입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국내 대표 제과기업 '오리온'은 글로벌 비즈니스 성장을 위한 도약의 발판으로 RISE with SAP를 선택했습니다. 오리온은 자사 업무에 최적화된 시스템을 자체적으로 유지하고 있었지만, IT 기술의 발달과 회사의 성장으로 인해 여러 제약 사항을 느끼게 되었죠. 이에 비즈니스 변화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플랫폼을 도입하기로 결정했습니다. SAP는 글로벌과 국내 다양한 CPG 산업에서의 표준 프로세스로 이미 검증된 솔루션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프로젝트의 통합과 중복 업무 제거에 장점을 보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받았습니다. 메타넷글로벌은 프라이빗 클라우드 패키지를 통해 표준화된 프로세스와 데이터의 정합성을 확보하고, 고객과 시장에 바로 대응할 수 있는 운영 체계로 변화시키기 위한 최적의 업무 플랫폼을 마련하는데 집중했습니다. 레거시 시스템이 방대했기 때문에, ERP 하나로 이를 정리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랐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RISE with SAP 안의 다양한 솔루션을 활용했죠. 업의 특성을 고려한 별도의 추가적 솔루션, 개발확장 플랫폼 'SAP BTP(Business Technology Platform)', 다양한 솔루션 간의 연계를 돕고 통합 관리를 지원하는 SAP Integration Suite도 함께 도입했습니다. AI 시대에서는 데이터 기반 경영이 필수적이기에, 데이터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플랫폼이 중요합니다. SAP Integration Suite는 산재되어 있는 데이터 연계를 위해 필수적입니다. 또, 다양한 데이터의 통합 분석을 위해 SAP의 BI 툴인 SAP Analytics Cloud와 데이터웨어하우스(DW)인 Datasphere도 함께 도입했습니다. SAP의 BI 툴은 단순 비즈니스 분석 뿐만 아니라, 실적 대비 계획 관리도 가능하게 해주는 데이터 분석 플랫폼입니다. BI 툴과 DW가 하나의 거대한 통합 데이터 저장소로서 기능하면서, 오리온은 여러 시스템에 분산된 데이터를 한 곳에 모아 사용자에게 빠르게 전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처럼, 해당 기업은 RISE with SAP를 통해 표준화된 프로세스 하에서 안정적으로 연계된 다양한 툴을 활용해 데이터에 기반한 경영, 미래를 그리는 작업과 분석을 실행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GROW with SAP 급격한 비즈니스 성장세에 따라 ERP를 더 짧은 기간 안에 도입하고 싶은 고객사가 있을 수도 있겠죠. 표준 프로세스를 바탕으로 빠른 비즈니스 혁신을 바라는 고객에게는 퍼블릭 클라우드, 그리고 이에 기반한 패키지 'GROW with SAP'가 적합합니다. 퍼블릭 클라우드의 가장 큰 장점은 신속하게 업무 표준화를 이뤄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재무 중심의 ERP 구현이 필요하거나, 빠르게 성장하는 IT혁신 기업은 기존 업무에 맞춰 ERP를 구현하는 것보다 표준화된 SaaS형 SAP ERP를 빠른 시간 내에 도입하여 업무 표준화를 이루는 것이 더욱 효율적입니다. 글로벌 패스트푸드 기업 '맥도날드'는 SAP 표준 기반으로 빠르게 비즈니스를 전환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유연한 확장성을 고려하여 GROW with SAP를 통한 퍼블릭 클라우드를 선택했습니다. 퍼블릭 클라우드를 도입하면 최신 기술을 가장 빨리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일년에 2번 진행되는 정기 업데이트를 통해 시스템 내 새로운 신규 프로세스나 AI 등 최신 기술이 지속적으로 반영되죠. 표준을 유지하면서도 SAP의 확장 전략에 따라 다른 솔루션 또는 BTP 기반의 개발을 통한 확장도 가능합니다. 메타넷글로벌 역시 구축과정에서 이러한 장점을 활용했습니다. 또, 고객이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솔루션이나 현재 시중에 나와있는 SaaS형 솔루션이 연계 가능한 점을 반영해 고객사의 프로젝트 관리용 솔루션, 법인카드 시스템을 비롯한 회계 부문 등 다양한 Legacy를 원활하게 연계하여 구축하였습니다. 맥도날드는 이번 ERP 혁신을 통해 고정자산 대량처리에 SAP에서 제공하는 RPA기능을 사용, 업무 시간을 단축시켰으며 리스업무에서는 작업에 사용했던 많은 엑셀 파일들 없이 시스템화 할 수 있었습니다. ERP 시스템 AI의 활용 산업 전반에 인공지능(AI)이 필수적으로 자리잡는 시점에, 기업의 ERP 시스템 혁신을 위해서는 AI 기능을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는 솔루션을 선택해야 할 것입니다. SAP는 퍼블릭 클라우드에 SAP의 생성형 AI를 가장 빠르게 도입하는 등 최근 AI 기능 구현에 많은 힘을 쏟고 있습니다. 이경수 상무는 "앞으로 AI가 여러 고객의 업무 어려움을 해소하는 데 직접적인 도움을 줄 것이다. 특히 분석계 솔루션에 AI가 유용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SAP의 Analytics Cloud에도 생성형 AI 기술 적용이 계획되어 있다"면서 "현재 ERP 프로젝트를 고려하는 고객이 있다면 AI 기술을 고려해서라도 SAP의 Cloud ERP가 가장 좋은 해답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메타넷글로벌은 SAP on Cloud 도입/구축/운영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으며, ‘클린코어*’ 전략에 기반한 대규모 ERP 구축 및 클라우드 기반 프로젝트를 수행해왔습니다. *클린코어 전략: ERP 시스템 관리 및 유지보수 차원에서 ERP 본연의 기능은 별도 개발 없이 표준 프로세스로 관리하고 추가 개발 요건은 시스템 외부에 반영하는 전략 SAP S/4HANA Cloud ERP 도입을 통해 업무 현장을 혁신하고 싶으시다면, 메타넷글로벌과 상담하세요!
2024.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