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8
기술 발전이 세상을 빠르게 변화시키고 있는 가운데, 특히 IT 보안 분야에서는 이러한 속도에 맞춰 새로운 전략과 기술을 도입해야 합니다.
과거의 전통적인 보안 접근 방식은 경계 보안에 초점을 맞춰왔습니다. 이는 온프레미스 환경에서의 네트워크 트래픽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왔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클라우드 컴퓨팅과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보안 패러다임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통합보안관제와 AI를 중심으로 한 보안 트렌드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제는 많은 정보들이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의 데이터 센터에 저장되고 실행 중입니다. 이로 인해 클라우드 환경은 새로운 보안 위협에 쉽게 노출되고, 치명적인 보안사고 발생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최근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보안 공격은 랜섬웨어, 계정 탈취, 취약점 공격, 클라우드 기술력 및 인력 부족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증가하고 있습니다. 기존의 전통적인 보안 모델로는 새로운 위협에 대응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이에 중요해진 것이 클라우드 레이어에 대한 지식과 클라우드 자체 취약점을 고려한 새로운 보안 접근 방식입니다. 이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클라우드 환경에 대한 심층적 이해, 그리고 클라우드 취약점 분석 및 대응을 통해 종합적인 관리를 실행할 수 있는 통합보안관제가 필요합니다.
국내보안 업체 대다수는 네트워크(방화벽+웹방화벽) 관제, 즉 경계보안 중심의 전통적인 관제 범위를 커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추가로 ①자원 식별 ②취약점 관리 ③클라우드 보안 이벤트 가시성 확보 ④자동화된 대응의 확장된 통합보안관제를 통해 클라우드 환경 전체를 전략적·효과적으로 보호해야 합니다.
클라우드 환경을 종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통합보안관제의 전략은 아래와 같습니다.
생성형 AI를 이용한 사이버 공격은 사회적 혼란을 초래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전문 보안 관제 인력과 협력하여 클라우드 환경의 보안 수준을 높여야 합니다.
생성형 AI 기술을 악용한 공격 사례 중 하나로 ‘딥페이크’가 있습니다. 딥페이크 기술은 영상, 이미지를 가공하여 사실과 다르게 표현해 정보의 신뢰성을 훼손합니다. 생성형 AI를 활용한 악성코드의 발생도 주의해야 합니다. 최근 랜섬웨어 해커집단은 AI를 통해 다양한 악성코드를 기하 급수적으로 생산, 끊임없는 랜섬웨어 공격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재와 같이 인력에 의존하는 사이버 공격 대응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때문에 방어자 입장에서도 생성형 AI를 통한 새로운 대응 전략을 개발하는 추세입니다. 이는 보안업계의 지속적 혁신과 전문성을 요구하는 과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메타넷티플랫폼은 AWS Proserve 팀과 협업하여 보안관제와 AWS의 생성형 AI ‘베드록’을 이용한 사이버 보안 공격 대응 방안 모색에 나서고 있습니다. 더불어 마이크로소프트 Security for Copilot도 활용 중입니다.
클라우드 보안은 기존의 방식으로 해결할 수 없는 새로운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이럴 때일수록 통합보안관제의 적극적 도입이 필요하며, 생성형 AI와 전문 보안관제인력을 활용해 클라우드 환경의 보안 수준을 높여야 합니다.
클라우드 보안에 관심있으시다면, 메타넷티플랫폼과 상담하세요!
<작성: 메타넷티플랫폼 SecurityBiz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