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26
1월 말 '딥시크'가 등장하면서 전 세계가 말 그대로 발칵 뒤집혔습니다. 이 AI의 개발 비용은 560만 달러로, 메타가 '라마3'를 만들 때 투입했던 비용의 10분의 1 수준에 불과합니다. 일부에서는 이 비용이 과장됐다는 추정을 내놓기도 했지만, 어쨌든 비싼 GPU와 반도체를 쓰지 않고도 고성능의 AI를 만들 수 있다는 사실에 많은 사람들이 충격을 받았습니다.
딥시크가 화제가 된지 얼마 되지 않아, 국내 정부기관과 기업들은 '딥시크 사용 금지령'을 내렸습니다. 개인정보 및 기밀 유출 우려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딥시크는 사용자의 키보드 습관까지 파악하는 등, 과도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캐나다의 사이버 보안 기업은 딥시크 코드에 중국 국영 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에 사용자 개인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이 숨겨져 있다고 주장하기도 했죠.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이달 17일 딥시크 앱에 대해 국내 서비스 잠정 중단 조치를 내렸습니다. 개인정보위에 따르면 자체 분석을 진행한 결과, 제3사업자와의 통신 기능 및 개인정보 처리 방침 상 미흡한 부분이 확인됐습니다. 또한 앱 이용자 정보가 일부 틱톡 모회사인 '바이트댄스'로 넘어간 사실도 확인됐습니다.
개인정보 유출, 과장된 개발비 등 논란과는 별개로 딥시크가 AI 개발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가져온 것은 분명합니다. AI 개발이 천문학적인 비용으로 인해 미국 빅테크 기업만이 소화 가능한 영역이라는 것이 기존의 통념이었으나, 딥시크는 충분한 기술력을 갖춘 스타트업도 AI 모델을 개발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했습니다.
미중 AI 패권 전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정부는 뒤처지지 않기 위해 부랴부랴 대응에 나섰습니다. 20일 개최된 '제3차 AI컴퓨팅 인프라 특별위원회'에서는 '월드 베스트 LLM 프로젝트' 추진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AI 국가대표 정예팀'을 선발해 글로벌 톱 수준의 LLM을 개발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이들에게 필요한 데이터와 GPU 등 핵심 인프라를 집중 지원할 계획입니다.
또한 고성능 GPU 1만장을 조기확보해 국가AI컴퓨팅센터 서비스를 조기 개시할 계획을 밝혔습니다. 범용 인공지능 독자 기술 확보를 위해 약 1조원 규모의 R&D 프로젝트를 추진하겠다는 방안도 언급됐습니다.
딥시크는 보안 이슈 등 다양한 후폭풍을 일으키며 미·중 AI 패권 경쟁의 신호탄이 됐습니다. 우리 정부도 AI 경쟁력 강화를 위해 나섰지만, 단순한 자원 투입만으로는 글로벌 시장에서 살아남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전문가들은 AI 안보 강화를 위해 자체 AI 역량 확보가 필수적이라며, 이를 뒷받침할 실효성 있는 규제 개선과 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딥시크가 촉발한 변화 속에서 한국 AI 산업이 도약할 수 있을지, 앞으로의 대응이 주목됩니다.